1. 서 론
2. VTS 관제 방법 조사 분석
2.1 VTS 관제 절차 현황
(1) 일반적 관제 절차 및 지시의 문제점
(2) 설문조사를 통한 VTS 관제사의 관제 방법
2.2 선박운항자 의식 기반 위험도 모델
Tp : own ship's type factor
Tf : own ship's ton(GT) factor
Lf : own ship's length(m) factor
Wf : own ship's width factor(m)
Cf : own ship operator's career factor
Lof : own ship operator's license factor
Pf : own ship operator's position factor
L : target ship's LOA (m)
Cf : approaching crossing factor of target ship
Sf : approaching side factor of target ship
Hi/o : in/out harbor factor of own ship
Sp : speed(kt) factor between ships
Sd : speed(kt) difference between ships
D : distance between ships (NM)
3. 부산항 관제 해역의 관제 시점 분석
3.1 조사방법 및 대상
3.2 위험상황 식별을 위한 VTS 교신 분석
3.3 위험상황의 관제 개입시기 분석
Table 3
Table 4
3.4 조우상황별 관제 개입시기 분석
(1) 교차의 경우
(2) 정면으로 마주보는 경우
(3) 추월의 경우
(4) 조우상황 별 비교분석
Table 5
Case | Risk Value | Distance serviced by VTS(NM) | CPA(NM) |
---|---|---|---|
|
|||
Crossing | 4.11 | 1.65 | 0.48 |
Head on | 4.29 | 1.64 | 0.19 |
Overtaking | 4.00 | 0.44 | 0.12 |
3.5 관제경력별 관제 개입시기 분석
(1) 경력 5년미만의 관제사의 관제개입
(2) 경력 5년이상 10년미만의 관제사의 관제개입
(3) 경력 10년이상 15년미만의 관제사의 관제개입
(4) 경력 15년이상 20년미만의 관제사의 관제개입
(5) 관제경력별 비교분석
Table 6
Career | Risk Value | Distance serviced by VTS(NM) | CPA(NM) |
---|---|---|---|
|
|||
Less 5yr | 4.51 | 1.12 | 0.23 |
5-10yr | 4.12 | 1.95 | 0.22 |
10-15yr | 3.77 | 1.71 | 0.54 |
15-20yr | 4.12 | 1.41 | 0.33 |
3.6 주・야간별 관제 개입시기 분석
(1) 주간당직시간 중 관제사의 관제개입
(2) 야간당직시간 중 관제사의 관제개입
(3) 주/야간별 비교분석
Table 7
Case | Risk Value | Distance serviced by VTS(NM) | CPA(NM) |
---|---|---|---|
|
|||
Day | 4.14 | 1.29 | 0.29 |
Night | 4.14 | 1.60 | 0.39 |
4. 결 론
(1) 부산권 해역의 VTS 관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2.1%가 위험한 상황의 관제 시에 CPA 및 TCPA를 확인하여 관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적정 관제시점의 CPA 및 TCPA에 관한 가이드라인은 없 어 관제사는 관제프로그램의 정보에 자신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관제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부산항 VTS VHF를 3일간 청취한 결과 VTS가 선박 에게 직접 관제를 실시한 건수는 207건이 있었다. 이 중 두 척이상의 선박에 직접적인 통항이 있었던 60건 의 상황을 추출한 결과 당직관제사의 교신을 하는 방 법 및 시기는 다르지만, 3일간 평균적으로 VTS의 권 고 및 지시는 PARK 모델에 의한 위험도 4.16에서 거 리는 1.4NM에서 CPA 0.34NM일 때 실시되었다.
(3) 3일의 조사기간 동안 관제사가 관제를 개입했던 60건 의 상황을 조우 상황별로 분류한 결과 PARK 모델에 의한 위험도와 CPA 및 교신 거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용한 모델에 선박운 항자의 의식이 반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관제 경력별로 분류하면 특정 위험도 값이 차이가 많 이 나는 한사람을 제외하고, 관제경력이 많을수록 위 험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주・야간별로 분 류하면 교신 거리와 CPA는 야간의 경우가 먼 거리에 서 실시됨을 확인하였으나, PARK 모델의 위험도는 두 상황 동일하게 위험도 4.14에서 교신을 시작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