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낚시공원 시설운영 및 낚시인 요구사항 조사 연구

A Field Survey on Facility Management and Anglers’ Requirements at Recreational Sea-fishing Parks

Article information

J Navig Port Res. 2015;39(6):529-538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연구원, 종신회원, hun0707@kmou.ac.kr 051)410-4995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연회원, damis0@kmou.ac.kr 051)410-4995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교수
강 영훈*, 홍 성기**, 이 한석
* Research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Korea
**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Korea
Department of Architecture & Ocean Space,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Korea
Corresponding author: 종신회원, hansk@kmou.ac.kr 051)410-4580
Received 2015 October 1; Revised 2015 November 25; Accepted 2015 December 1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바다낚시인의 증가 따른 낚시시설의 부족을 해결하고 바다낚시를 해양레저로 정착시키며 어촌의 경제 활성화를 돕 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측면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개선사항 및 새로운 바다낚시공원의 계획을 위한 시설계획방향을 제시하였다. 시설측면의 문제점 분석을 위하여 현재 운영 중인 9군데 바다낚시공원과 2 군대 바다목장을 대상으로 시설운영 현황조사 및 시설관리인 인터뷰조사를 실시하고 바다낚시공원, 어촌체험마을 등 25군데 바다낚시시설에 서 낚시인을 대상으로 시설요구사항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가족단위 낚시인구의 증가에 따른 안전시설 및 화장실, 휴게시 설 등의 편의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초보자를 위한 가두리낚시터 등의 교육, 체험시설의 필요성과 캠핑장, 해변공원, 산책로 등의 낚시활동 외 여가활동을 위한 시설 도입에 대한 요구가 높게 조사 되었다. 따라서 바다낚시공원은 낚시활동을 중심으로 한 복합레저공간으로 계획하여야 하며, 낚시공원 내 활동요구사항에 적합한 시설구성 및 시설계획이 필요하다.

Trans Abstract

This paper was intended to empirically identify problems with recreational sea fishing park facilities installed to help reinvigorate local economy of fishing villages in order to mitigate shortage of fishing facilities amid an increase in sea fishers and spur evolution of sea fishing into a marine leisure activity, on which basis this researcher presented direction for facility planning which is deemed necessary to map out the plan for sea fishing parks, along with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sea fishing park facilities. To analyze the problems related to sea fishing park facilities, we conducted a survey on facility operations involving 9 sea fishing parks and 2 sea ranches and had an investigative interview with facility manager. Moreover, a survey was conducted of fishers in 25 sea fishing places, including sea fishing park, fishing experience village, etc.,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demand for facilities. The results of survey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emand for expansion of amenities such as safety facilities, toilets, lounge facilities, etc., which can accommodat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fishing with family.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huge demand for introduction of facilities aiding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to facilities for fishing activities including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fishing site at the corner exclusive for beginners, experiential facilities, camping site, seaside park, promenade, etc. Thus, sea fishing park should be the complex leisure space with a focus on fishing activities and requires facility configuration and facility planning suited to activity requirements within fishing park.

1. 서 론

1.1. 연구목적

여가생활 증대, 교통여건 개선 등으로 인해 해양레저의 증 가와 함께 바다낚시인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바다낚시에는 다양한 연령층, 사회계층이 참가하고 있으며 여 성 및 어린이 활동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바다낚 시형태는 기존 남성 중심의 강태공 낚시에서 가족중심의 바다 낚시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바 다낚시시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바다낚시는 아직도 주로 갯바위, 호안, 방파제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성, 어린이 등 가족이 함께 즐기기 위한 낚시시설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1) 바다낚시공원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이 용률이 저조하고 당초 기대한 바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바다낚시공원의 설치는 어촌의 경제 활성화를 주요 목표로 하고 있으나 낚시공원의 저조한 이용률로 인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하다.

이와 같은 바다낚시공원 이용률 저하 원인을 시설 측면에 서 살펴보면 변화하는 낚시활동패턴 및 낚시인 요구사항에 적 합한 시설 미비와 공간의 부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바다낚시공원의 시설운영에 대한 체계적인 현장조 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시설개선사항 및 새로운 바다낚시공원 의 시설계획을 위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다낚시공원의 시설 측면에서 현황 및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바다낚시공원의 시설운 영 현황조사, 관리인 인터뷰조사, 낚시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개선사항과 새 로운 바다낚시공원을 위한 시설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내용

연구내용으로는 먼저 국내 바다낚시의 현황을 파악한 후에 현재 운영 중인 11개 바다낚시공원의 현장조사를 통해 시설조 성, 시설구성, 시설관리, 이용현황 등을 조사하고 바다낚시공 원 관리자 인터뷰를 통해 시설개선사항을 알아본다. 다음으로 바다낚시공원의 합리적인 시설계획을 위해 바다낚시공원을 이용하는 낚시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시설요구사 항을 조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계획방향 을 제시한다.

2. 바다낚시공원현황

2.1. 바다낚시현황

⌈낚시관리 및 육성법⌋에서 ‘낚시’란 낚싯대와 낚싯줄·낚 싯바늘 등 도구를 이용하여 어류·패류·갑각류 등 수산동물을 낚는 행위로 정의하고 있다.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a)에 따르면 우리나라 낚시인 수는 1990년 325만 명에서 2013년에는 705만 명으로 지난 23년간 연평균 3.4% 증가하였으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낚시는 낚시터 이외에 강, 계곡, 저수지, 갯바위, 방파제 등 다양한 장 소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전국 낚시터는 2013년 현재 872개소 로서 민물낚시터가 636개소(72.9%), 바다낚시터는 236개소 (27.1%)로 민물낚시터의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2).

한편 해양관광레저를 해양레저스포츠, 해양생태관광, 해변 관광활동으로 구분하면 해양레저스포츠분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활동이 해상이나 갯바위에서 일어나는 바다낚시이 다(Kang, J. G, 2014). 현재 전국에 분포된 바다낚시터 및 유 어장은 90군데로서 경남(40곳)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전남(13 곳), 충남(8곳), 인천(6곳), 전북(5곳) 등의 순서로 지역 편중이 심하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a).

또한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4b, 2013b)에 따 르면 바다낚시를 위한 낚시어선업3)의 경우 2013년 기준 4,390척의 낚시어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용객은 195만 7천명 으로 총수입은 1,232억 원이고, 지난 10년간 수입 추이를 보면 연평균 14.0%의 높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여가문화 확산에 따라 국민들의 국내여행(국민국내여 행이동총량)은 2010년 3.4억일에서 2023년 약 7.7억일로 예상 되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해양관광레저의 경우 2023년 국민국내여행이동총량 대비 65%인 약 5억일이 될 것 으로 예상되어 연평균 약 4.8% 성장세가 전망되고 있어서 (Korea Maritime Institute, 2013), 해양관광레저의 주요 활동 유형인 바다낚시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더불어 국민여가활동의 패턴이 가족과 함께 하는 활동으 로 변화해 감에 따라4) 바다낚시에서도 가족중심의 낚시가 확 산되고 있다.

2.2. 바다낚시공훤현황조사

바다낚시가 활성화되고 바다낚시인구가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바다낚시공원을 조 성하였는데 지금까지 조성된 바다낚시공원은 9개소이며 이와 함께 국가가 조성한 바다목장 두 곳도 바다낚시공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다낚시공원의 시설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바다낚시공원 9 개소와 바다목장 2개소에 대해 2014년 8월~9월(2개월)에 걸 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먼저 낚시시설과 그 주변시설을 조사하였고 다음으로 시설을 관리 운영하는 담 당자와 인터뷰를 통해 시설운영현황, 이용객수, 이용객특성, 체험프로그램,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 및 Table 2와 같이 정리하였다.

Present condition of fishing parks

List of interviewees

2.2.1. 시설운영

바다낚시공원은 2008년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대리에 조 성된 정남진낚시공원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국가 와 지자체에 의해 조성되고 있다. 이들 바다낚시공원의 시설 구성을 보면 일반적으로 T자형이나 일자형 낚시잔교, 낚시잔 교와 육지를 연결하는 연결교량, 입구의 관리실·매점·화장 실·주차장 등이 기본시설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밖에 바다낚 시공원에 따라서 낚시초보자나 어린이를 위한 가두리양식장, 낚시인을 위한 낚시펜션, 쉼터(파고라) 혹은 어린이놀이터, 어 초시설(인공어초) 등을 부가시설로 설치하고 있다.

낚시공원별로 특별한 시설을 살펴보면 격포항낚시공원의 경우 낚시잔교 바로 옆에 요트계류장이 있으며 수산물판매장 과 회센터가 낚시잔교 인근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부도낚 시공원과 통영등대낚시공원에는 낚시잔교 끝부분에 등대가 설치되어 있고 한경면바다목장의 경우에는 바다목장체험관을 별도로 두고 있다.

바다낚시공원은 국가 및 지자체가 조성하고 시설관리 및 운영은 어촌계에 위탁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다낚시공원의 시 설관리를 위해 국가나 지자체의 지속적인 재정 투자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어촌계가 직접 관리하고 그 수익을 통 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다목장의 경우에는 국가가 직영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제주 한경면 바다목장의 경우에는 현재 어촌계로 관리 이전이 추진 중이다. 바다낚시시설 이용 료에 대해서는 지은 지 오래된 낚시공원일수록 입장료를 무료 로 하는 경우가 많고 최근 신설된 낚시공원은 유료로 운영 중 인 곳이 많은데 낚시활동에 따른 비용 지불에 대한 낚시인들 의 인식이 낮아 유료화할 경우 이용객 감소를 우려하여 유료 화를 미루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관리 및 운영 측면에서 성공여부 는 연간 이용객 수에 달려있으며 이에 따라 시설관리 및 이용 객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계획 을 위해서는 연간 이용객 수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5),. 따라서 Table 1에서와 같이 바다낚시공원을 연간 이용객 수 에 따라 5만 명 이하인 A그룹, 5만 명에서 10만 명 이하인 B 그룹, 그리고 10만 명 이상인 C그룹 등 세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 시설관리 및 이용객 특성을 분석한다.

A그룹은 시설운영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바다낚시 공원들로서 이 낚시공원의 주 이용객은 낚시만을 목적으로 혼 자 또는 친구와 찾아오는 낚시인들이며 입장료 유무와 상관없 이 단위 이용객 수가 적고 가족단위 이용객은 거의 없는 형편 이다. 또한 낚시공원의 운영시간이 짧고 위탁 운영을 맡고 있 는 어촌계의 열악한 재정 상태와 지자체의 재원투자 미흡 등 으로 인해 낚시인 유치에 한계가 있고 시설물 관리는 잘 이루 지지 않고 있다.

한편 C그룹 경우에는 시설의 운영이 성공적인데 이 낚시공 원의 이용객을 살펴보면 가족단위 이용객의 비율이 높고 인근 대도시에서 접근성이 좋으며 낚시시설 주변에 함께 즐길 수 있는 레저시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설관리 및 운영이 체계 적이고 지속적인 홍보 등으로 인해 이용객의 유치가 안정적이 며 운영을 맡은 어촌계의 수익증가로 인해 어민들의 자발적 참여율이 높고 관리에 적극적이다. 또한 B그룹은 이용객 수 뿐 아니라 시설의 관리운영 측면에서 A그룹과 C그룹의 중간 적 특성을 보이며 C그룹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보면 이용객 수가 적은 바다낚시공원일 경우 에 일인 낚시의 비중이 높지만 이용객 수가 많은 바다낚시공 원일수록 주 이용객은 가족단위 낚시인으로서 낚시 뿐 아니라 관광목적의 비중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바다낚시 공원의 운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설 측면에 서 가족낚시인, 특히 여자와 어린이 등이 안전하게 낚시를 즐 기고 이와 함께 다양한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시설을 조성해 야 할 것이다.

2.2.2. 문제점 및 개선사항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관리 및 운영은 어촌계장과 사무장이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인터뷰 대상자는 Table 2와 같다.

이들 관리자들과 인터뷰 조사결과 나타난 문제점 및 개선 사항은 Table 3과 같으며 이 내용을 개선사항 중심으로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Analysis of interviews with facility manager

먼저 시설운영 측면에서 바다낚시시설의 입장 유료화가 가 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시설운영을 담당하는 어촌 계 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어촌계·부녀회·청년회 등 마을공동 체의 협력이 중요하고 지역에 적합한 낚시체험 및 교육프로그 램을 만들어 차별화를 통해 낚시인을 끌어들이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시설이용 측면에서는 접근성이 중요한 요소가 되 고 있으며 어린이를 비롯한 가족단위 낚시인을 위한 안전시 설, 편의시설 등의 설치가 중요하고 계절 또는 기상조건과 무 관하게 즐길 수 있는 체험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시설구성 측 면에서는 물때에 맞춰 언제든지 낚시가 가능하도록 캠핑장이 나 야영장이 필요하며 수확한 수산물을 조리 또는 손질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고 가족의 체류를 위한 숙박시설과 즐기기 위한 위락시설이 요구되며 좋은 어획을 위해 인공어초와 초보 낚시인을 위한 가두리 낚시터가 필요하다.

3. 낚시인요구사항조사

3.1. 조사방법

바다낚시공원의 시설을 낚시인의 요구에 적합하게 계획하 기 위해 낚시인을 대상으로 시설요구사항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Table 4 및 Fig 1에서와 같이 바다낚 시공원 9개소, 바다목장 2곳, 바다낚시로 특화된 어촌체험마을 9곳, 기타 바다낚시시설 6곳에서 그곳을 방문한 낚시인을 대 상으로 바다낚시활동, 바다낚시장소 그리고 바다낚시공원의 시설요구사항 등에 대해 대면면접방법으로 실시하였다.

Survey summary

Fig. 1

Survey areas

3.2. 조사결과

3.2.1. 응답자 일반사항

먼저 응답자 구성을 Fig 2에서 보면 총 유효응답자 391명 가운데 남성이 322명(82.35%)으로 여성 69명(17.65%)에 비해 월등히 많으며 응답자 연령대는 50대가 106명(27.11%)으로 가 장 많고 다음으로 30대 95명(24.3%), 40대 88명(22.51%), 20대 54명(13.81%), 60대 이상 46명(11.76%)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바다낚시는 30대 이상의 남성 중심 여가활동임을 알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전체 낚시인 구성 중 여성 낚시인의 비율 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Fig. 2

Composition of Respondents

한편 응답자의 낚시경력을 살펴보면 낚시경력이 10년 이상 20년 미만인 응답자가 100명(25.58%), 20년 이상인 응답자가 92명(23.53%)로 나타나 10년 이상 장기간 바다낚시를 즐기는 응답자가 192명으로 전체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반 면에 낚시경력 3년 미만인 응답자도 116명으로 전체의 30% 정도를 차지하여 최근에 새롭게 낚시를 시작하는 사람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3.2.2. 낚시활동 관련사항

먼저 낚시활동의 목적에 관해 5개 항목에 대한 복수 가능한 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를 Table 5에서 보면 391명 응답자가 643개를 응답(1인 평균 1.64개 응답)하였으며 그 결과 ‘일상생 활의 스트레스 해소’가 35.93%(231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친구 및 가족과 함께 즐기기 위해’ 28.46%(183개),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기 위해’ 17.11%(110개)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 결과 낚시활동은 단순히 물고기 잡기나 시간을 보내기 위한 소극적 여가활동이라기보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 해서 혹은 친구 및 가족들과 함께 즐기기 위한 적극적 여가활 동인 것을 알 수 있다.

Fishing purposes(plural responses)

또한 응답자 연령대별로 낚시활동 목적을 분석해 보면 40 대, 50대, 60대 응답자의 경우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해소’에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에 젊은 층인 20대와 30대 응답자는 ‘친 구 및 가족과 함께 즐기기 위해’ 에 가장 많이 응답하고 있다. 즉 젊은 낚시인일수록 친구 또는 가족과 더불어 여가를 보낼 목적으로 낚시를 즐기는 경향이 있는 것에 비해 40대 이상에 서는 스트레스 해소 수단으로서 혼자 즐기는 낚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Table 6에서 낚시활동의 동반자수에 대한 응답을 보면 전체 응답자의 50.56%(205명)이 ‘2~3명’이라고 답하였고 다음으로 ‘혼자’가 29.61%(107명)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에서 ‘혼자’라고 응답한 사람을 제외하고 동반자가 있다고 응 답한 284명 가운데 동반자에 대해 ‘친구’가 53.87%(153명), ‘가 족’ 35.21%(100명), ‘낚시동우회’ 7.75%(22명) 순서로 응답하였 다. 이와 같이 바다낚시는 친구와 함께 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혼자서 혹은 가족과 함께 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는데 전통적으로 바다낚시는 주로 혼자 하는 여가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친구나 가족과 함께 하는 낚시활동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Fishing companions

A: Number of companion

다음으로 낚시활동의 빈도를 Fig 3에서 살펴보면 평균 ‘1회 /월’ 응답이 39.13%(153명)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2회/월’ 이 22.25%(87명) 등 순서로 조사되었다. 평균 월 2회 이상 낚 시하는 사람의 비율이 전체의 약 52%로서 주기적으로 낚시를 즐기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월 6회 이상 낚시하는 사람들은 낚시공원 근처에 거주하거나 또는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Fig. 3

Frequencies of fishing activity(monthly average)

낚시하는 시기에 관하여 Table 7에서 살펴보면 하루 중에 는 ‘아침’이 40.66%(159명)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낮’이 33.76%(132명)으로 조사되었고 기타의견으로서 ‘물때에 따라 서’라는 응답이 있었다. 또한 계절에 대해서는 42.20%(165명) 이 ‘가을’이라고 답하였으며 ‘여름’이 26.09%(102명), ‘봄’이 18.41%(72명) 순서로 조사되었고 기타의견으로 ‘잡히는 어종 에 따라서’라는 응답이 있었다. 주중과 주말에 대해서는 ‘주말’ 이 74.17%(290명)로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 이 바다낚시는 대부분 해양레저가 여름에 집중되는 계절적 편 중현상을 겪는 것과는 달리 겨울을 제외한 봄, 여름, 가을에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주기적으로 낚시하거나 비 교적 전문적으로 낚시하는 사람들은 ‘물때’와 ‘계절별 잡히는 어종’에 따라 낚시시기를 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shing time

A: Of the Day

다음으로 Table 8에서 낚시시설 체류시간을 살펴보면 한번 낚시를 가면 ‘7시간 이상’이 37.85%(148명)로 가장 많고 ‘3~4 시간’이 29.41%(115명), ‘5~6시간’이 25.32%(99명)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으며 7시간 이상 체류한다고 응답한 사람들 대부분은 물때에 맞춰서 체류기간을 조절하거나 1박2일 이상 체류하며 낚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과 함께 낚시하러 오거 나 관광목적으로 낚시공원에 온 사람들은 체류시간이 비교적 짧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바다낚시시설이 가족구성원 의 다양한 레저관광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데 주요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ime of staying for fishing

낚시시설까지 접근하는 교통수단 및 소요시간을 Table 9에 서 보면 교통수단으로서 ‘승용차’가 85.68%(335명)로 가장 높 으며 다음으로 ‘버스’, ‘도보’ 등 순서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낚 시시설이 대중교통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며 낚시장 비 등을 운반하기 위하여 승용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한편 접근소요시간은 ‘1~2시간’이 65.21%(253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4시간’, ‘1시간 미만’ 등 순서로 나타나 대 부분 거주지에서 승용차로 1~2시간 정도 소요되는 낚시시설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ransportation and travel time

A: Transportation

낚시활동의 비용을 Table 10에서 살펴보면 한번 낚시하러 가는데 지출하는 총 비용은 ‘10만원 이상’이 43.73%(171명)로 가장 많았고 ‘5~10만원’ 27.62%(108명), ‘2~5만원’ 23.02%(90 명) 순서로 조사되었다. 전체 응답자 중 71%(279명)가 5만원 이상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비용은 78,500원 으로 조사되어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4) 의 국민 1인 평균여행지출액(당일여행기준) 177,428원보다 적 은 것으로 나타났다.

Average expense for fishing activity (Unit: won)

3.2.3. 낚시시설 관련사항

먼저 낚시인들이 낚시시설을 선택하는데 중요하게 고려하 는 요인을 선행 연구결과7),를 바탕으로 Table 11과 같이 추출 하고 낚시장소 선택 시 각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5점 척도(① 전혀중요하지않음-②중요하지않음-③보통-④중요함-⑤매우 중요함)로 평가하게 하였다.

Fishing facility selection factors

낚시장소 선택요인의 평가결과는 Table 5에서 나타난 낚시 동반자의 구성을 고려하여 ‘전체’그룹(391명), ‘혼자’그룹(107 명), ‘가족과 함께’그룹(100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8), 10 개 요인에 대해 세 그룹의 평균점수를 비교하여 나타내면 Fig 4와 같다.

Fig. 4

Importances of 10 factors by each group

Fig 4에서 보면 10개 요소 중 8개 요소에서 ‘혼자’그룹과 ‘가족과 함께’그룹은 ‘전체’그룹을 중심으로 서로 상반된 방향 의 의견을 나타내고 있어서9) 이 두 그룹은 낚시시설의 선택 에서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룹별로 살펴보면 먼저 ‘전체’그룹에서는 ‘낚시시설의 환경’의 중요도 가 가장 높고 ‘잡히는 어종’의 중요도는 가장 낮다. 반면에 ‘혼 자’그룹에서는 ‘낚시시설의 환경’, ‘낚시가 잘되는 정도’, ‘어종’ 의 중요도는 높고 ‘낚시 외 여가 활동’, ‘접근성’, ‘낚시시설의 유무’의 중요도는 낮다. 이와 달리 ‘가족과 함께’그룹에서는 ‘낚시시설의 환경’, ‘주변시설의 다양성’, ‘낚시동반자’, ‘접근성’ 에 대한 중요도가 높고 ‘어종’에 대한 중요도는 낮다. 따라서 낚시인들은 전체적으로 낚시시설의 환경, 낚시가 잘 되는 것, 소요비용 등을 중요하게 여기고 혼자 낚시하는 사람들의 경우 에는 잡히는 어종과 물고기를 잘 잡는 것 등 낚시행위 자체를 중요시하는 반면에 가족과 함께 낚시하는 사람들은 접근성이 좋고 낚시시설과 주변시설이 고루 잘 갖추어져 있으며 다양한 여가활동이 가능한 것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2.4. 바다낚시공원 관련사항

바다낚시공원을 새롭게 계획할 경우에 꼭 필요한 시설요구 사항을 조사한 결과10), ‘전체’그룹(391명), ‘혼자’그룹(107명), ‘가 족과 함께’그룹(100명)의 응답내용을 비교하면 Fig 5와 같다.

Fig. 5

Facility requirements by each group

Fig 5를 보면 ‘전체’그룹의 요구사항으로는 ‘낚시전문점(종 합판매시설)’ 12.36%(48명), ‘야영장, 오토캠핑장 등 캠핑시설’ 12.03%(47명), ‘해변공원, 산책로, 전망대’ 10.02%(39명), ‘낚시 관련 교육 및 체험시설’ 10.02%(39명)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혼자’그룹에서는 ‘낚시전문점(종합판매시설)’ 10.47%(11명), ‘수산물판매시설, 식당’ 8.43%(9명), ‘콘도, 호텔, 펜션 등 숙박 시설’ 7.70%(8명), ‘야영장 등 캠핑시설‘ 6.69%(7명) 순으로 많 이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과 함께‘그룹에서는 ‘야영장 등 캠핑 시설’ 13%(13명), ‘낚시관련교육 및 체험시설’ 11%(11명), ‘해 변공원, 산책로, 전망대’ 10%(10명), ‘해양레저스포츠 교육 및 체험시설’ 10%(10명)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 결과를 분석해보 면 혼자 낚시하는 사람들은 낚시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시 설인 낚시전문점, 식당, 숙박시설 등에 대한 수요가 높은 반면 에 가족과 함께 오는 낚시인들은 캠핑시설, 해양레저교육 및 체험시설, 해변공원 및 산책로 등 가족구성원이 즐길 수 있는 시설의 필요성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바다낚시공원에 설치될 바다낚시시설의 1일 적정 입 장료에 대해 자유응답방식으로 설문한 결과 Table 12에서와 같이 ‘1~2만원’이 45.52%(178명)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1만 원 미만’이 24.81%(97명), ‘3~4만원’이 19.69%(77명) 등의 순서 로 나타났다. ‘1만원 미만’ 응답자들은 바다낚시시설 입장료를 지불한다는 것 자체를 수긍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반면 에 ‘3만원 이상’ 응답자들은 어획량과 어종이 좋으면 그에 합 당한 비용을 기꺼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sonable entrance fee(for a day) (Unit: won)

4. 시설개선사항 및 시설계획방향

4.1. 시설개선사항

이상에서 실시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현장조사, 시설관리 인 인터뷰조사 및 낚시인들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낚시공원의 시설 관련 개선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과 함께 하는 낚시인이 증가하면서 어린이와 여 성 낚시인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바다낚시시설도 이들을 고려 한 계획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어린이들이 바다로 추락하거나 미끄러져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해 난간이나 구명 부의 등 안전시설과 화장실, 샤워시설, 음수시설 등 편의시설 이 필수적이다.

둘째, 한 번 바다낚시공원에 가면 체류시간이 평균 9.24시 간으로 나타나 어린이나 여성 낚시인을 위해 놀이시설과 캠핑 장소가 낚시시설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야 하며 또한 낚시가 하루 중 아침과 낮 동안 주로 일어나기 때문에 뜨거운 햇빛을 피할 수 있는 그늘진 휴게시설이 필요하다.

셋째, 어린이와 여성 등 초보낚시인이 낚시를 즐겁게 배우 고 체험할 수 있도록 초보자용 가두리낚시터와 함께 바다낚시 와 해양레저 관련 교육 및 체험시설이 필요하다.

넷째, 바다낚시공원에는 대부분 승용차를 이용하여 접근하 기 때문에 접근도로가 정비되며 충분한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야 하고 주차장에서 낚시시설까지 낚시도구를 비롯한 짐을 편 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시설(예, 경사로 등)이 필요하다.

다섯째, 낚시인들은 낚시장소 선택에서 ‘낚시장소의 환경’, ‘낚시가 잘 되는 정도’, ‘소요비용’ 등을 중요하게 여기며 특히 가족과 함께 하는 낚시인들은 낚시시설 주변에 레저시설 및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서 다양한 여가활동이 가능한 것 을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에 적합한 바다낚시공원 입지선정과 시설구성이 필요하다.

여섯째, 낚시인들의 요구사항에 따르면 바다낚시공원에는 ‘낚시전문점(종합판매시설)’, ‘야영장, 오토캠핑장 등 캠핑시 설’, ‘해변공원, 산책로, 전망대’, ‘낚시교육 및 체험시설’ 등이 필요하고 어린이 등 가족구성원을 위해 갯벌체험 등 해양체험 시설도 요구된다.

일곱째, 바다낚시시설의 입장료에 대해서는 국내 및 일본에 서 많은 바다낚시시설 입장료가 1만원 내외인 것을 비춰볼 때 낚시인 조사에서 가장 많이 응답한 ‘1~2 만원’이 낚시시설 적 정 입장료로 판단되며 이는 바다낚시공원 전체 입장료의 산정 에 기준이 될 수 있다.

여덟째, 바다낚시공원 시설관리자에 따르면 바다낚시는 어 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바다낚시가 어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어촌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소득원의 하나이므로 바다낚시공원은 바다낚시가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는 어촌과 일체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홉째,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관리자에 따르면 바다낚시시 설의 입장 유료화가 시급하고 차별화된 낚시체험 및 교육프로 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캠핑장이나 야영장 그리고 가족 체류 를 위한 숙박시설과 위락시설이 요구되고 인공어초 및 가두리 낚시터가 필요하다.

4.2. 시설계획방향

이상의 연구결과 바다낚시활동은 점차 개인중심에서 가족 중심으로, 소극적 활동에서 적극적 체험활동으로, 즐거움 추구 에서 가치 창조적 활동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바다 낚시의 특성상 물때에 맞추어 숙박의 빈도가 높으며 최근 숙 박의 패턴은 호텔이나 펜션 등 숙박시설의 이용 뿐 아니라 가 족끼리 캠핑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11). 특히 바다낚시에서 가족과 함께 하는 낚시인이 증가하고 있어서 바다낚시가 ‘가 족 중심의 여가활동’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 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계획방향을 제 시하면 다음과 같다.

  • ① 가족중심으로 낚시활동 패턴의 변화를 반영하여 기존 강태공을 위한 단조로운 낚시시설구성12)에서 가족구성원을 위한 복합레저공간으로 계획한다.

  • ② 바다낚시공원에는 낚시이외에 다양한 해양레저와 체험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 및 시설을 함께 계획하고 특히 캠 핑장을 비롯한 숙박시설의 계획이 필수적이다.

  • ③ 특히 바다낚시공원은 가족구성원에게 바다의 즐길 거리, 먹거리, 볼거리를 제공하며 여성, 어린이, 낚시초보자 등이 바 다낚시를 통해 바다와 친숙해지고, 바다를 즐기고, 바다를 배 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시설을 계획한다.

  • ④ 바다낚시공원의 입지는 해변리조트나 휴양지에 계획하 기 보다는 기존 어촌마을에 위치하도록 계획한다. 어항, 어장, 갯벌, 낚시시설 등 기존의 기반시설을 충분히 활용하고 부족 한 레저 및 휴식시설 그리고 체험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어촌 경제를 활성화하도록 계획한다.

  • ⑤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구성으로는 가족구성원들이 편리하 고 안전하게 머물고 체험할 수 있도록 바다낚시시설을 중심으 로 어촌체험시설, 편의시설, 숙박시설, 놀이시설, 상업시설, 스 포츠시설, 문화시설 등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단기 관광과 장기 체류, 개별관광과 단체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5. 결론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바다낚시공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시설운영현황조사, 관리인 인터뷰조사 및 낚시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다낚시공원 의 시설개선사항 및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계획방향을 제안하 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여가활동의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바다낚시도 개 인중심에서 가족중심의 낚시활동으로 변화하고 여성 및 어린 이의 참가가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바다낚시공원의 시 설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 바다낚시공원은 국가 혹은 지자체에서 조성하고 관리운영은 어촌계에 위탁하고 있는 실정이며 연간 이용객수 에 따라 시설운영 및 구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바다낚시공원의 운영측면에서 입장 유료화가 중요하 고 시설측면에서는 낚시인을 위한 숙박시설, 가족낚시인을 위 한 위락시설, 초보낚시인을 위한 가두리낚시터 등이 필요하다.

넷째, 낚시인들의 설문조사결과 기존 낚시시설의 개선사항 으로 안전시설과 화장실, 샤워시설, 음수시설 등 편의시설이 필수적이다.

다섯째, 향후 바다낚시공원은 낚시시설을 중심으로 체험시 설, 편의시설, 숙박시설, 놀이시설, 상업시설, 스포츠시설, 문화 시설 등으로 구성된 바다낚시 중심 복합레저공간으로 계획한 다.

여섯째, 복합레저공간으로서 바다낚시공원을 계획하기 위 해서는 낚시공원이 위치할 지리적 여건과 낚시공원 내 활동요 구사항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시설 유형을 정하고 시설유형 에 따라 적합한 시설구성 및 시설계획이 필요하며 특히 바다 낚시공원의 최적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이러한 바다 낚시공원이 가능하도록 법제도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

Notes

1)

바다낚시공원 현장조사 결과 1개 소당 평균 30~40억 원, 많게는 100억 원 이상 예산을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2)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Fishing comprehensive portal site, Naksi-Nuri, http://www.naksinuri.com/참조, 등록된 낚시터

3)

10톤 미만의 어선을 이용하여 승객을 낚시장소로 운송하거나 특정 낚시 포인트로 이동하여 선상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업을 말함

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2)에 따르면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자의 경우 제도시행에 따른 긍정적 변화로서 “가족 과 함께 하는 여가시간의 증가”(응답자의 32.4%)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음

5)

바다낚시시설 관리자들과 인터뷰에 따르면 대부분 응답자가 어촌계의 효율적인 시설 관리 및 운영을 위해서 그리고 어촌 주민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연간 이용객 수가 10만 명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에서도 연간 이용객 수 약 10만 명 을 어촌체험마을의 성공 기준으로 삼고 있음

6)

Lee, H. S, Lee. M. K. and Park, G.(2001)에 따르면 2000년 11월 부산의 바다낚시터 12군데에서 153명 낚시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응답자의 97%가 남자 낚시인이었는데 이 결과와 본 연구결과의 직접 비교는 무리가 있지만 여성 낚시인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것은 유추할 수 있음

7)

Lee, H. S., Lee. M. K. and Park, G.(2001)에 따르면 ‘어떤 낚시터를 좋아하는 이유’로는 전체 응답자의 32%가 좋은 조과(많은 어획량, 다양한 어종 등), 아름다운 경관 25%, 좋은 낚시터 환경(깨끗하고 안전한) 22%, 좋은 접근성 18%의 순서로 나타났고 낚시터 에서 ‘불편한 사항’으로는 편의시설(화장실, 세면장, 쓰레기통, 매점 등) 부족 41%, 교통 불편 25%, 낚시환경미비(군사지역, 검문, 날 씨조건 등) 13%, 안전하지 못한 환경 7% 순서로 나타났음

8)

가족과 함께 낚시하는 사람의 요구사항이 향후 바다낚시공원의 시설계획에서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이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혼자 낚시하는 사람 및 전체 응답자와 함께 비교분석하였음

9)

‘낚시장소의 환경’과 ‘낚시시기’ 두 요소를 제외한 8개 요소에서 ‘전체’ 그룹의 평균값을 중심으로 ‘혼자’ 그룹과 ‘가족과 함께’ 그룹 의 평균값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타나 있음

10)

현장조사를 통해 바다낚시공원, 바다목장, 어촌체험마을의 시설을 조사하고 기존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바다낚시공원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14개 시설을 제시하고 응답자가 바다낚시공원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시설을 복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음

11)

Camping Outdoor Promotion Agency(2013) p.6에 따르면 매년 100만 명 이상 캠핑을 즐기고 있으며 2013년 캠핑용품시장은 5,000 억 원을 넘어섬

12)

일반적으로 바다낚시잔교를 의미함

(주) 이 논문은 “낚시복합타운 조성을 위한 이용자 실태 조사 연구”란 제목으로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 추계학술대회 (동명대학교, 2014.10.23.-24, pp. 159-160)”에 발표되었음.

References

1. Camping Outdoor Promotion Agency. Prospect of Camping Market Growth and Issue of Policy Improvement for Camping Ground in the local. 2013.
2. Kang J G. Direction of policy implementation for Marine Leisure and Tourism. Division of Marinecc Leisur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3. Kim S K. Marine Tourism. Hyunhaksa 2007.
4. Korea Maritime Institute. Korea National Tourism and Marine Tourism Survey 2013.
5. Lee H S, Kang Y H. Marine Architectural Planning. Munundang 2014.
6. Lee H S, Lee M K, Park G. “Planning of Sea Fishing Pier at Waterfront Area in Busan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01. 17(11)29–38.
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2014.
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Korea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2012.
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Development Planning of Ocean Living Complex 2002.
1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Fishing Complex Town Development Planning 2014a.
1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Current Condition of Fishing Boat Operation 2014b.
12.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nd Mastercplan for the promotion of Marine Tourism 2013a.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Division, 2013.04.16. Press release 2013b.
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Fishing comprehensive portal. site, Naksi-Nuri, http://www.naksinuri.com/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Present condition of fishing parks

Name of Fishing Park Develop -ment Subject *1 Comple -tion (year) Opera -tion *2 Entrance Fee Number of Users (during 1Year) Main Users Access Time (from nearby cities)
group A (less than 50,00) group B (50,000~ 100,000) group C (more than 100,000) alone or with friend family within an hour 1 to 2 hours
west coast Jebudo Fishing Park Local 2011 Con. Incheon Seoul
Gungpyeong Port Fishing Park Local 2009 Con. Incheon Seoul
Hongwon Port Fishing Park Central 2012 Con. Gwangju Daejeon
Gyeokpo Port Fishing Park Central 2012 Con. Gwangju
south coast Jeongnamjin Fishing Park Local 2008 Con. Gwangju
Tongyeong lighthouse Fishing Park Local 2009 Con. Busan Daegu
east coast Dangsa Fishing Park Local 2013 Con. Ulsan Busan
Pohang Fishing Park Local 2012 Con. Daegu Ulsan Busan
Uljin Fishing Park Local 2013 Con. Daegu
Uljin Sea Ranch Central 2012 Dir. Daegu
Jeju Hangyeongmyeon Sea Ranch Central 2013 Dir. - -
주) *1

- Local: Local Government, - Central: Central Government

*2

- Con.: Consignment Operating, - Dir.: Direct Operating

Table 2

List of interviewees

No Region Name of Fishing Park Interviewee (position)
1 Gyeonggi-do Jebudo Fishing Park Noh, ** (fishing village chief)
2 Gungpyeong Port Fishing Park Jung, ** (fishing village chief)
3 Chung cheongnam -do Hongwon Port Fishing Park Kim, ** (fishing village chief)
4 Jeollabuk-do Gyeokpo Port Fishing Park Kim, ** (fishing village chief)
5 Jeollanam-do Jeongnamjin Fishing Park Song, ** (facility manager)
6 Gyeongsangnam -do Tongyeong lighthouse Fishing Park Kim, ** (fishing village manager)
7 Ulsan Dangsa Fishing Park Kim, ** (facility manager)
8 Gyeongsangbuk-do Uljin Fishing Park Joo, ** (fishing village chief)
9 Pohang Fishing Park Jeong, ** (fishing village chief)
10 Uljin Sea Ranch Jang, ** (fishing village chief)
11 Jeju-do Hangyeongmyeon Sea Ranch Go, ** (fishing village chief)

Table 3

Analysis of interviews with facility manager

Item Contents
main points of facility management
  • lack of understanding of entrance fee-charging

  • more profitable management by fishing village cooperatives rather than local government

  • poor financial conditions of fishing village cooperatives for good management

  • lack of safety guard and management manpower

needed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
  • responding to and carrying out suggestions from fishing village cooperatives

  • business cooperation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fishing village cooperatives

  • deregulation and improvement of legal systems regarding facility management

  • continuous financial and educational help for facility management

success factors of facility management
  • active participation and unity of fishing village members

  • good access to fishing facility

failure factors of facility management
  • conflicts between fishing village members and lack of participation

  •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within fishing park

  • lack of facility and program differentiation

  • insufficient management of facility

  • lack of seasonal special programs

needed facility at fishing park
  • camping site, amenities, amusement facilities

  • accommodation & lecture room for group tourists

  • safety & evacuation facilities for users

  • artificial fish reef & caged fishing area

  • various experience facilities for kids & family members

  • washing or cooking facilities for catched fishes

needed program at fishing park
  • differentiated experience programs equipped with regional specific features

  • seasonal programs for peak season and off-season

  • weather independent replacement programs

  • regional brand

notes for facility planning of fishing park
  • planning to reflect opinions of villagers

  • planning to show off regional environment features

  • planning to reject standardized plan

  • planning to reject development without thought

  • planning to be merged into surrounding nature

  • planning for fishing village members to be able to manage sustainably

  • planning to include accommodation & amenities for staying overnight

Fig. 1

Survey areas

Table 4

Survey summary

Item Contents
Survey Target Visitors of fishing villages, fishing parks, Fishing facilities
Number of sample Valid sample 391(Total sample 445)
Survey method Interview method with formed questionnaire
Period August 2014 ~ September 2014
Survey items
  • ①General items: Sex/Job/Residence/fishing career, etc.

  • ②Characteristics of Fishing activity: Purpose/Companion/Cost/Fishing Time

  • ③Fishing Facility Selection Factors

  • ④Facility Requirements for fishing park

Survey area Fishing village, Fishing Park, etc.(at 25 places in 9 areas)

Fig. 2

Composition of Respondents

Table 5

Fishing purposes(plural responses)

to stress reduction to view scenery to kill time to catch fish to enjoy with family or friend etc.
Response (person) total: 643 231 110 53 58 183 8
Ratio (%) 100.00 35.93 17.11 8.24 9.02 28.46 1.24

Table 6

Fishing companions

A: Number of companion

Alone 2~3 4~5 over 6
Response (person) total: 391 107 205 66 13
Ratio (%) 100.00 29.61 50.56 16.76 3.07

B: Composition of companion

Friend fishing club Family etc.
Response (person) total: 284 153 22 100 9
Ratio (%) 100.00 53.87 7.75 35.21 3.17

Table 6

Fishing companions

A: Number of companion

Alone 2~3 4~5 over 6
Response (person) total: 391 107 205 66 13
Ratio (%) 100.00 29.61 50.56 16.76 3.07

B: Composition of companion

Friend fishing club Family etc.
Response (person) total: 284 153 22 100 9
Ratio (%) 100.00 53.87 7.75 35.21 3.17

Fig. 3

Frequencies of fishing activity(monthly average)

Table 7

Fishing time

A: Of the Day

Morning Noon Evening Night etc.
Response (person) total: 391 159 132 51 26 23
Ratio (%) 100.00 40.66 33.76 13.04 6.65 5.88

B: Of the Season

Spring Summer Fall Winter etc.
Response (person) total: 391 72 102 165 5 47
Ratio (%) 100.00 18.41 26.09 42.20 1.28 12.02

C: Week or Weekend

Week Weekend etc.
Response (person) total: 391 76 290 25
Ratio (%) 100.00 19.44 74.17 6.39

Table 7

Fishing time

A: Of the Day

Morning Noon Evening Night etc.
Response (person) total: 391 159 132 51 26 23
Ratio (%) 100.00 40.66 33.76 13.04 6.65 5.88

B: Of the Season

Spring Summer Fall Winter etc.
Response (person) total: 391 72 102 165 5 47
Ratio (%) 100.00 18.41 26.09 42.20 1.28 12.02

C: Week or Weekend

Week Weekend etc.
Response (person) total: 391 76 290 25
Ratio (%) 100.00 19.44 74.17 6.39

Table 8

Time of staying for fishing

1~2 hours 3~4 hours 5~6 hours more than 6 hours average
Response (person) total: 31 29 115 99 148 9.24
Ratio (%) 100.00 7.42 29.41 25.32 37.85

Table 9

Transportation and travel time

A: Transportation

Walk Bus Car Subway Ship etc.
Response (person) total: 391 10 20 335 1 22 3
Ratio (%) 100.00 2.56 5.11 85.68 0.25 5.63 0.77

B: Travel Time

less than an hour 1~2 hours 3~4 hours 5~6 hours more than 6 hours
Response (person) total: 391 52 253 75 7 4
Ratio (%) 100.00 13.30 64.71 19.18 1.79 1.02

Table 9

Transportation and travel time

A: Transportation

Walk Bus Car Subway Ship etc.
Response (person) total: 391 10 20 335 1 22 3
Ratio (%) 100.00 2.56 5.11 85.68 0.25 5.63 0.77

B: Travel Time

less than an hour 1~2 hours 3~4 hours 5~6 hours more than 6 hours
Response (person) total: 391 52 253 75 7 4
Ratio (%) 100.00 13.30 64.71 19.18 1.79 1.02

Table 10

Average expense for fishing activity (Unit: won)

under 10,000 10,000~ 20,000 20,000~ 50,000 50,000~ 100,000 over 100,000 average
Response (person) total: 391 8 14 90 108 171 78,500
Ratio (%) 100.00 2.05 3.58 23.02 27.62 43.73

Table 11

Fishing facility selection factors

Factors Contents
① Accessibility Distance from home, Traffic convenience, Parking lot, etc.
② Presence of fishing facility Presence of fishing facilities like a pier, breakwater, etc.
③ Condition of fishing facility Safety of facility, quality level of environment
④ Fish species Species of fish get caught
⑤ Degree of fishing well Fishing points, Amount of fishes get caught
⑥ Fishing time Timing: a day, season, week or weekend, tide time, etc.
⑦ Fishing companion Number of companion, Composition of companion(family, friend, etc.)
⑧ Leisure activities Enjoyable leisure such as scenery appreciation, experience tour etc. other than fishing
⑨ Diversity of surrounding facilities Presence of accommodations, commercial facility, amenities etc.
⑩ Cost Charge for enjoying fishing

Fig. 4

Importances of 10 factors by each group

Fig. 5

Facility requirements by each group

Table 12

Resonable entrance fee(for a day) (Unit: won)

under 10,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over 70,000
Response (person) total: 391 97 178 77 30 9
Ratio (%) 100.00 24.81 45.52 19.69 7.67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