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운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과 ESG 평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ility Report Publishing and ESG Evaluation of Shipping Companies

Article information

J Navig Port Res. 2025;49(1):101-10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5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5394/KINPR.2025.49.1.101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Business, Seowon University, Cheongju 28674, Korea
**Associate Professor, Division of Shipping Management, National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Korea
유지연*, 홍순욱**,
*서원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부교수
Corresponding author : 종신회원, swhong@kmou.ac.kr 051)410-4385
Received 2024 December 29; Revised 2025 January 17; Accepted 2025 February 4.

Abstract

본 연구는 KOSPI 상장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ESG 평가와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점차 ESG가 핵심 경영전략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가운데, 많은 기업들이 ESG 활동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기업들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ESG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명성과 호감도가 낮다고 알려진 해운업에서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ESG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2010년부터 2023년까지 KOSPI에 상장된 해운사를 대상으로 한국ESG기준원이 발표하는 ESG 평가 등급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ESG 영역 중 환경분야 E 등급과 사회분야 S 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SG 통합 등급과 지배구조 G 등급에는 유의하지 않은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했다. 본 논문은 글로벌 선사와 치열한 경쟁에 노출되어 있는 국내 상장 해운사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경영전략에 도움이 될만한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issuance of sustainability reports by KOSPI-listed shipping companies is related to ESG evaluation. As ESG is gradually becoming a key management strategy, many companies are paying attention to ESG activities. Each company is carrying out ESG activities in its own way.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issuing sustainability reports on ESG in the shipping industry, which is known to have low transparency and favorability.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SG evaluation ratings announc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for shipping companies listed on KOSPI from 2010 to 2023.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ssuance of a shipping company's sustainability re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 grade in the environmental field and the S grade in the social field among ESG areas.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that ESG integration rating and governance G rating had an in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is paper provides research result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domestic listed shipping companies exposed to fierce competition with global shipping companies.

1. 서 론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업 가치의 극대화이며,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이익 극대화를 위해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익을 기반에 둔 가치경영의 시대이다. 즉, 무분별한 이익 극대화에만 치중해서 기업을 경영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흐름이며,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는 기업, 정부,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 조직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있다. 또한 주요 신용평가사들은 기업의 평가에 있어 재무적인 성과뿐 아니라 비재무적 성과인 ESG 경영을 평가의 요소로 고려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국내기업들은 발 빠르게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UN의 환경계획 담당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은 1997년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를 설립해 지속가능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국내 타 산업에 늦은 감이 있지만 국내 해운기업들도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고 있다. 지속가능보고서는 기업의 비재무적인 정보를 자발적으로 작성 및 공개하는 것이다. 지속가능경영이 새로운 경영의 핵심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투명성이 요구되기 시작하였다(Yoon, 2009). 국내 상장 기업이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K-IFRS를 준용해야 한다. 하지만 지속가능보고서를 작성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일관된 기준은 없다. 지속가능보고서가 비재무적인 정보를 투명하고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명확하지 않고, 지속가능보고서가 본래의 역할이 아닌 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해운업의 경우 폐쇄적이고 투명성과 호감도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Lee and So, 2021; Yun, 2022). 이에 해운업에 속한 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여부가 보고서의 본질에 충실하여 해당 기업의 ESG 평가 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기업의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책임은 경제적 책임이다. 재무적 책임은 이익 극대화를 통한 고객, 종업원, 사회 등 이해관계자와의 선순환을 위해 기여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사회는 급변하고 있고, 세계는 점점 하나로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지속가능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다. 과거에는 기업이 경제적 책임에만 충실하면 충분했지만, 현재는 경제적 책임을 기반에 둔 윤리적 책임, 사회적 책임 활동 등이 수반되어야 하는 지속가능경영이 필수적이다. 기업은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체계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고 이해관계자들에게 보고하기 위해 지속가능보고서를 작성한다. 이는 재무제표와 같은 재무적 성과를 담은 회계보고서가 아닌 비재무적 보고서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지속가능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행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Yoon(2009)은 해외 기업들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행하는 이유를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투명성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요구 증대이다. 둘째는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을 법제화하려는 추세의 확산이다. 셋째는 동종업계에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는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지 않는 기업이 상대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한다는 인식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유럽이나 북미시장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여 투자하는 사회책임 펀드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투자를 위한 움직임이라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해운업의 경우 투명성 및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고가의 선박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해운업의 특성상 대규모의 자본 조달은 필수적이다. 해외 투자처는 물론이고, 한국산업은행,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수출입은행 등 국내 투자처도 해운사의 ESG와 같은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Tsatsaronis et al.(2024)은 해운사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양의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면서, 해운업 투자자들은 우수한 CSR 관행을 갖춘 해운기업을 선호하고 투자로 이어진다고 하였다. Han and Kim(2019)은 국내 해운사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직무만족도 간 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기업의 CSR 활동은 직원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Jang et al.(2019)은 한국, 중국, 태국, 일본을 대상으로 각 국가의 해운업 평판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고, 해운업의 긍정적인 인식 개선을 위해 마케팅 활동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보았을때 해운업에 속한 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필수적인 상황이다.

Papoutsi and Sodhi(2020)는 117개의 미국 또는 캐나다 기업과 214개의 유럽 기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보고서가 기업의 지속가능성 성과를 나타내는지, 즉 그러한 공시가 얼마나 유용한지를 조사하였다. 블룸버그의 ESG 등급과 기업의 비공개 및 공개 정보를 사용하는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JSI)를 실제 지속가능성 성과를 나타내는 대리 지표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보고서에서 개발된 구성 요소는 DJSI 및 ESG 측정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가능보고서는 실제 지속가능성 성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Huang et al.(2024)은 2009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 기업들로부터 수집된 10,021건의 지속가능보고서를 검토하여 길이, 가독성, 톤, 정형 언어, 중복성, 완전성의 여섯 가지 주요 텍스트 속성을 중심으로, 이러한 속성이 국제(MSCI, FTSE) 및 국내(SNSI) 기관에서 제공하는 ESG 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보고서의 길이와 완전성이 ESG 등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본래의 목적인 사회적 편익을 창출하는 윤리적 활동과 기업이 경제적 편익을 얻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수행한다는 두 가지 영역이 존재한다(Kramer and Porter, 2006). Cho(2022)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목적이 단순 윤리적 경영이 아닌 고객들의 인식 개선을 통한 고객 만족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 중의 하나이고, 기업의 재무적 성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사회적 활동을 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기업의 가치 극대화 전략의 하나로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기업의 경영자는 사회적 책임 활동과 ESG 활동 등을 통하여 개인적인 평판이나 시장에서의 부정적인 시선을 방어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Ban and Park, 2022). Hong(2024b)는 타 산업에 속한 기업의 경우 ESG 활동이 증가할수록 타인자본 비용이 감소하는데 반해 해운업 기업의 경우 ESG 활동이 타인자본비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해운업이 ESG 활동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목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전략 중 하나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의 경우 수년 전부터 상장 대기업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기 시작하였고 최근에는 많은 상장 기업들이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고 있다. 그런데, 기업이 지속가능보고서 작성 시 지켜야할 일관된 기준이 없고, 몇몇 가이드라인이 있으나 이 또한 의무사항이 아니다. 기업이 발행하는 현행 지속가능보고서는 자발적으로 작성 및 공시하기 때문에 보고서가 담고 있는 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검증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Nam, 2009). 이와 같은 이유로 지속가능보고서의 목적과 역할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목적과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관한 내용을 실질적으로 잘 담아내고 해당 기업이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노력하였다면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기업의 ESG 평가 등급이 상승할 것이다. 그러나 기업 전략의 하나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는 기업이라면 지속가능보고서의 발행이 ESG 평가 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하락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해운업의 경우 타 산업에 비해 ESG 활동 수준이 낮고(Hong, 2024b), 또한 타 산업에 비해 신뢰성과 투명성이 낮으므로 해운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해운사가 발행하는 지속가능보고서의 신뢰성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가설: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ESG 등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본 연구는 국내 상장 해운사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해당 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ESG 평가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아래 식(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계한다. 식(1)의 종속변수는 한국ESG기준원에서 발표한 ESG 평가 등급을 의미하는 변수 ESG이다. 한국ESG기준원에서는 매년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등급과 이들을 통합한 ESG 등급을 평가‧발표하고 있다. 본 논문은 ESG 통합 등급, E 평가 등급, S 평가 등급, G 평가 등급 등 네 가지를 종속변수로 해서 분석을 진행한다. ESG 등급이 가장 높은 S등급일 경우 7을 부여하고 가장 낮은 D등급일 경우 1의 값을 부여한다. 즉, S=7, A+=6, A=5, B+=4, B=3, C=2, D=1의 값을 부여하였다. 설명변수는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여부에 따라 1의 값과 0의 값을 설정하여 REP 변수로 측정하였다.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한 기업이면 1, 아니면 0의 값을 부여하였다. 식(1)의 주요 변수인 REP의 계수가 양(+)의 유의한 값을 보이면,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ESG 평가 등급이 높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ESG 평가 점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인 규모(SIZE), 부채비율(재무레버리지, LEV), 손실기업여부(LOSS), 수익률(총자산순이익률, ROA), 영업현금흐름(CFO), 매출액성장률(GW) 기업연령(AGE), 광고선전비지출액(ADV), 외국인지분율(FOR), 대주주지분율(OWN), 연도더미변수(YD)를 독립변수에 추가하였다.

식 (1) ESGi,t=β0+β1REPi,t+β2SIZEi,t+β3LEVi,t+β4ROAi,t+β5CFOi,t+β6GWi,t+β7LOSSi,t+β8AGEi,t+β9ADVi,t+β10FORi,t+β11OWNi,t+ΣYD+ε

ESG=한국ESG기준원이 발표한 기업의 ESG 등급

E=환경 평가 등급

S=사회 평가 등급

G=지배구조 평가 등급

REP=지속가능보고서 발행 기업이면 1, 아니면 0인 더미변수

SIZE=기업규모=기초총자산의 자연로그 값

LEV=총부채/총자산=부채비율

ROA=당기순이익/기초총자산=총자산순이익률

CFO=영업활동현금흐름/기초총자산

GW=매출액성장률

LOSS=당기순손실을 기록했으면 1, 아니면 0인 더미변수

AGE=기업연령의 자연로그 값

ADV=광고선전비 지출액/기초총자산

FOR=외국인지분율

OWN=대주주지분율

YD=연도더미변수

ε=잔차항

3.2 표본선정

본 논문의 표본 기간은 2010년~2023년이다. ESG 평가 등급 자료 확보가 가능한 2010년부터 분석에 포함하였으며, 가장 최근 연도인 2023년까지 표본 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KOSPI 상장 해운사이다. 표준산업분류 상 수상운송업에 해당하는 HMM, KSS해운, 대한해운, 팬오션, 흥아해운 등 5개 기업이 이에 해당한다. 표준산업분류 상 수상운송업에 해당하는 STX그린로지스가 2023년에 상장되었으나 분석에는 전기(t-1) 자료가 필요하므로 해당 기업은 표본에서 제외되었다. 표본에 포함된 5개 KOSPI 상장 해운사를 pooling하여 62개의 기업-연도 자료를 확보하였다. 통계분석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자본잠식 기업은 제외하였다. winsorization 방법을 통해 상‧하위 극단값 1%를 조정하였다.

4. 실증분석결과

4.1 기초통계량

Table 1에는 기초통계량을 기술하였다. 연구모형의 종속변수인 ESG 통합 등급 평균은 3.40이고, 환경(E)은 3.37, 사회(S)는 3.58, 지배구조(G)는 3.24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설명변수인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기업 REP의 평균은 0.27로 전체 표본의 약 27%에 해당하는 해운사(기업-연도)가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업규모 평균은 21.44, 부채비율 평균은 0.65, 총자산순이익률은 0.01, 영업현금흐름 평균은 0.07, 매출액성장률 평균은 0.08, 손실더미의 평균은 0.26, 기업연령의 평균은 3.82, 광고선전비 지출액의 평균은 0.03, 외국인지분율 평균은 0.11, 대주주지분율 평균은 0.38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와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해운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와도 상당히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Descriptive statistics

Table 2는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표이다.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ESG 통합 등급과 REP의 상관계수는 0.24로 양(+)의 유의한 값을 나타낸다. 이는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기업의 ESG 통합 등급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ESG 각 평가 등급과 REP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환경(E) 영역은 0.32 사회(S)의 영역은 0.59로 모두 양(+)의 유의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지배구조 영역인 G의 경우 REP와의 상관계수가 0.15로 양(+)의 값이지만 유의하지 않다. 단순상관관계 분석결과, 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의 발행은 지배구조(G)의 영역을 제외하고 ESG 평가 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4.3 단변량분석

Table 3은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한 기업이 발행하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ESG, E, S, G 평가 등급이 높은지 비교한 표이다. Panel A에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한 해운사의 ESG 평균은 3.76이고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지 않은 해운사의 ESG 평균은 3.27이고 이들의 평균 차이 0.49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이다. Panel B에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한 해운사의 E 평균은 3.94이고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지 않은 해운사의 E 평균은 3.16이다. 이들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anel C에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한 해운사의 S 평균은 4.65이고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지 않은 해운사의 S 평균은 3.18로 보고되었다. 이들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anel D에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한 해운사의 G 평균은 3.53이고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지 않은 해운사의 G 평균은 3.13으로 보고되었지만, 다른 평가 등급의 단변량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유의한 통계값은 보고되지 않았다. 상관관계 분석과 마찬가지로 ESG 평가 등급 중 지배구조(G) 등급을 제외하고 ESG 통합 등급, 환경(E) 등급, 사회(S) 등급의 경우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해운사가 더 높은 평가 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test

4.4 회귀분석

Table 4는 가설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이다. Panel A에는 ESG 통합 등급을 종속변수로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변수인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해운사를 의미하는 REP의 계수값이 0.581로 양(+)의 값을 보였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는 ESG 통합 평가 등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anel B는 환경(E) 분야 등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주요변수인 REP의 계수는 0.778로 양(+)의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는 해운사는 그렇지 않은 해운사에 비해 환경(E)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

Panel C는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사회(S)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EP의 계수값이 1.621로 양(+)의 유의한 값을 보였다. 이는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사회(S)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 Panel D는 지배구조(G)를 종속변수로 한 분석이다. 분석결과 REP 변수의 계수값이 0.179로 양(+)의 값을 보였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지속가능보고서 발행 여부는 해운사의 지배구조(S) 분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ESG 평가에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SG 통합, 지배구조(G) 분야는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유의하지는 않고, 환경(E)과 사회(S) 분야는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 론

본 연구는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ESG 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운업은 신뢰성과 호감도, 투명성이 낮고 폐쇄성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Lee and So, 2021; Yun, 2022). 또한 타 산업에 비해 ESG 활동이 낮은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Hong, 2024a).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지속가능경영, ESG 경영에 대한 주제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점차 강조되는 추세이다. Yoon(2009)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투명성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 때문에 기업은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을 통하여 기업은 보고서의 본래의 목적과 같이 지속가능경영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기업 전략 수단의 하나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할 수도 있다. Jang et al.(2019)은 한국, 중국, 태국, 일본을 대상으로 각 국가 해운업의 평판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고, 해운업의 긍정적인 인식 개선을 위해 마케팅 활동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해운사의 ESG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2010년부터 2023년까지 KOSPI 상장 해운사를 대상으로 한국ESG기준원이 발표하는 ESG 평가 등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한 해운사는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하지 않은 해운사보다 환경(E) 및 사회(S) 분야에서 평가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환경분야와 사회분야 평가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ESG 통합 등급과 지배구조(G) 분야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ESG 평가에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ESG의 세 가지 영역 중 환경, 사회 분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의 ESG 활동에서 기업과 정보이용자가 가장 큰 중점을 두는 활동이 환경과 사회 활동이다. 본 결과는 이러한 기업의 중점 활동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해운사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ESG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타 산업에 비해 ESG 활동 수준이 높지 않은 해운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해운업에서의 지속가능보고서 또는 사회적 책임 활동 등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진정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일환인지 검증이 필요하다. 검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기업가치 또는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는 이미 이루어졌다(Nam, 2023). 다른 하나는,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ESG 평가 등급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해운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이 진정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일환인지 최초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은 기업가치 상승뿐 아니라 ESG 등급 상승 등 효과가 있다. 기업가치 제고와 ESG 등급 향상을 위해 상장 해운사는 물론이고 중견 해운사도 적극적으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해야 할 것이다. 해양수산부 등 정책당국은 해운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해운사에 지속가능보고서 발행을 의무화하는 정책의 도입을 고려해 봄 직하다. KOSPI 상장 해운사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표본수가 크지 않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References

1. Ban H. J., Park H. J.. 2022;The Impact of ESG Management on Corporate Efficiency.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22(3):67–91.
2. Cho C. H.. 2022.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Quality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on ESG Satisfaction, ESG Relationship Quality, and Reuse Intention In : Korean Service Management Association, Fall Conference. p. 137.
3. Han K. S., Kim T. W.. 2019;A Study on the Effect of CSR Leading Factors of Korean Shipping Companies on CSR Implem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35(3):109–124.
4. Hong S. W.. 2024a;A Study on ESG Activities of Shipping Companie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48(1):55–61.
5. Hong S. W.. 2024b;ESG Activities and Costs of Debt Capital of Shipping Companie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48(3):200–205.
6. Huang J., Wang D. D., Wang Y.. 2024;Textual Attributes of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s and ESG Ratings. Sustainability 16(21):9270.
7. Jang H. M., Park H., Kim S. Y., Piboonrungroj P.. 2019;Corporate Image and Reputation in the Shipping Industry in Four Asian Countries: Republic of Korea, China, Japan, and Thai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8(3):1065–1078.
8. Kramer M. R., Porter M. E.. 2006;Strategy and Society: The Link between Competitive Advantag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rvard Business Review 84(12):78–92.
9. Lee Y. H., So A. R.. 2021;An Analysis of Shipping Industry Awareness and Its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37(4):41–50.
10. Nam H. J.. 2023;The Effect of Sustainability Report Disclosure on a Firm’s Value. Korean Journal of Insurance 134:55–86.
11. Nam S. M.. 2009;Sustainable Value for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Corporate: Focused on Evaluation based on Sustainability Repor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10):339–348.
12. Papoutsi A., Sodhi M. S.. 2020;Does Disclosure in Sustainability Reports Indicate Actual Sustainability Performanc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60:121049.
13. Tsatsaronis M., Syriopoulos T., Gavalas D., Boura G., Trakadas P., Gkorila M.. 2024;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on Shipping. Maritime Policy & Management 51(2):226–239.
14. Yoon J. S.. 2009;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Domestic Sustainability Management Report. Corporate Governance Review 46:70–86.
15. Yun M. H.. 2022;CSR and Dislike of Shipping Companies. Monthly Maritime Korea 58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Variables Mean Std. Minimum Median Maximum
ESG 3.40 0.93 1.00 3.00 5.00
E 3.37 1.09 1.00 3.00 6.00
S 3.58 1.12 1.00 3.00 6.00
G 3.24 1.17 1.00 3.00 5.00
REP 0.27 0.45 0.00 0.00 1.00
SIZE 21.44 1.20 19.33 21.48 23.97
LEV 0.65 0.18 0.16 0.70 0.95
ROA 0.01 0.09 -0.27 0.02 0.24
CFO 0.07 0.08 -0.12 0.08 0.31
GW 0.08 0.29 -0.63 0.04 1.20
LOSS 0.26 0.44 0.00 0.00 1.00
AGE 3.82 0.21 3.33 3.86 4.14
ADV 0.03 0.05 0.00 0.01 0.15
FOR 0.11 0.10 0.00 0.07 0.42
OWN 0.38 0.16 0.14 0.31 0.78

Note : The explanation of the variables is described in equation(1).

Table 2.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0.80***
0.63*** 0.60***
0.78*** 0.49*** 0.30**
0.24* 0.32** 0.59*** 0.15
0.58*** 0.68*** 0.40*** 0.38*** 0.13
-0.22* -0.26** 0.00 -0.32** -0.27** -0.28**
0.04 0.06 0.02 0.04 0.26** -0.04 -0.57***
0.23* 0.25* 0.24* 0.19 0.43*** 0.16 -0.53*** 0.78***
0.19 0.18 0.11 0.25* 0.22* 0.11 -0.22* 0.38*** 0.48***
-0.02 0.00 -0.04 -0.09 -0.28** 0.15 0.55*** -0.73*** -0.63*** -0.31**
-0.35*** -0.23* -0.31** -0.22* 0.15 0.07 -0.19 0.03 0.03 -0.03 0.03
0.25* 0.33*** 0.27** 0.02 -0.18 0.32** 0.50*** -0.55*** -0.45*** -0.08 0.49*** -0.30**
-0.10 -0.01 -0.17 -0.09 -0.21 -0.14 0.34*** -0.12 -0.20 -0.07 0.22* 0.33*** 0.21
-0.39*** -0.36*** -0.40*** -0.19 0.13 -0.13 -0.51*** 0.35*** 0.24* 0.06 -0.43*** 0.49*** -0.53*** -0.39***

Note : ①=ESG, ②=E, ③=S, ④=G, ⑤=REP, ⑥=SIZE, ⑦=LEV, ⑧=ROA, ⑨=CFO, ⑩=GW, ⑪=LOSS, ⑫=AGE, ⑬=ADV, ⑭=FOR, ⑮=OWN. ***, **, and * indicate significance at p < 0.01, p < 0.05, and p < 0.10, respectively. The explanation of the variables is described in equation(1).

Table 3.

T-test

Panel A: ESG=ESG
Panel B: ESG=E
REP=0 REP=1 REP=0 REP=1
Mean of ESG 3.27 3.76 3.16 3.94
difference -0.49*** -0.78***
Panel C: ESG=S
Panel D: ESG=G
REP=0 REP=1 REP=0 REP=1
Mean of ESG 3.18 4.65 3.13 3.53
difference -1.47*** -0.40

Note : The explanation of the variables is described in equation(1).

Table 4.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

ESGi,t = β0 + β1 REPi,t + β2 SIZEi,t + β3 LEVi,t + β4 ROAi,t + β5 CFOi,t + β6 GWi,t + β7 LOSSi,t + β8 AGEi,t + β9 ADVi,t + β10 FORi,t + β11 OWNi,t + ΣYD + ε 식(1)
Variables Panel A: ESG=ESG
Panel B: ESG=E
Coeff. t-value Coeff. t-value
Intercept 4.328 1.23 0.151 0.05
REP 0.581 1.58 0.778 2.27**
SIZE 0.388 3.42*** 0.476 4.51***
LEV -1.627 -2.10** -1.723 -2.39**
ROA -0.36 -0.15 -1.941 -0.87
CFO -0.558 -0.22 2.757 1.16
GW 0.68 1.39 0.538 1.18
LOSS 0.021 0.05 0.188 0.5
AGE -2.287 -2.16** -1.57 -1.59
ADV 0.046 0.01 1.993 0.64
FOR 2.447 1.38 2.56 1.56
OWN -0.799 -0.65 -0.831 -0.72
Fixed Effect YD
F-value 4.00*** 7.22***
Adj. R2 0.542 0.71
Variables Panel C: ESG=S
Panel D: ESG=G
Coeff. t-value Coeff. t-value
Intercept 0.925 0.24 11.177 2.32**
REP 1.621 4.08*** 0.179 0.36
SIZE 0.231 1.89* 0.315 2.03**
LEV 0.926 1.11 -3.268 -3.07***
ROA 0.258 0.1 -5.825 -1.76*
CFO 2.653 0.96 -1.11 -0.32
GW -0.264 -0.5 1.423 2.12**
LOSS -0.264 -0.61 -0.138 -0.25
AGE -0.555 -0.48 -3.293 -2.26**
ADV 3.562 0.99 -6.437 -1.4
FOR -1.469 -0.77 4.44 1.83*
OWN -2.471 -1.85* -0.126 -0.07
Fixed Effect YD
F-value 5.38*** 3.09***
Adj. R2 0.633 0.451

Note : ***, **, and * indicate significance at p < 0.01, p < 0.05, and p < 0.10, respectively. The explanation of the variables is described in equation(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