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물류기업 인증이 기업투자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Certified Excellent Logistics Companies on Firm Investment Activities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우수물류기업인증 획득과 투자활동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수물류기업인증 획득 69개사를 대상으로 총 1,404개의 재무패널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연구목적을 달성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축한 자료가 패널자료임을 감안하여, 패널개체와 시간특성, 오차항의 이분산성과 자기상관 등을 고려한 후 그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우수물류기업 인증 획득여부변수(CRT)와 투자활동(IST)간에는 부(-)의 관련성이 확인되어,인증획득 후 투자활동현금흐름이 위축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2개분야 이상 인증 획득여부변수(DCRT)는 투자활동(IST)과 정(+)의 관련성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2개 이상의 분야에 인증을 획득한 기업의 경우 해당 수준으로 경영환경 등이 개선되었고, 이러한 경영환경 개선 등이 반영되어 투자활동 활성화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강건성분석에서 또한 동일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인증획득과 투자활동과의 부(-)의 관련성은 장기간에 걸쳐 영향관계가 있음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물류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물류산업 발전을 위해 운영 중인 우수물류기업인증제도의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Trans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obtaining Certified Excellent Logistic Company (CELC) certification and firm investment activities, building on prior research. To achieve this, we constructed a financial panel dataset comprising 1,404 observations from 69 CELC-certified companies. The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panel data, including individual firm traits, time effects, heteroscedasticity, and autocorrelation in error terms,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The analysis reveal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ELC certification variable (CST) and investment activities (IST), indicating that cash flows for investment activities decreased post-certification. Conversely,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variable for obtaining certification in two or more areas (DCRT) and investment activities (IST), suggesting that companies with multiple certifications enhanced their management environment, leading to increased investment activities. Robustness tests confirmed these findings, and a long-term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ertification and investment activity was also identified.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improving the CELC system, there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logistics companies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1. 서 론
물류관련 인증제도는 2015년 우수물류기업인증으로 개편하여 운영 중이며, 물류전문기업 육성방안의 대표적인 정책으로 인식되고 있다(Kang et al. 2019). 해당제도는 물류산업의 발전과 경쟁력 확보는 물론, 개별 물류기업들의 경영환경 개선과 경쟁력 확보 및 유지를 동시에 추구하고자 시행 중이다. 해당 인증을 획득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리더십과 경영전략, 재무성과를 포함한 사업 안정성, 업무처리 역량 등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며, 3년을 단위로 정기적인 점검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를 통해 기업 내부적으로는 인증기준 총족과 유지를 위한 경영환경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외적으로는 관련 법령에 따라 행재정적 지원1) 또한 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2024년 9월 기준 종합물류서비스기업 분야 16개사, 국제물류주선기업 분야 22개사, 화물자동차운송기업 분야 37개사, 물류창고기업 분야 20개사, 화물정보망기업 분야 3개사, 항만구역 내 물류창고기업 분야 10개사가 우수물류기업인증을 획득하고 있으며, 이들 중 국보를 포함한 총 8개사는 2개 분야에 걸쳐 인증을 획득하고 있다.
한편, 해당제도와 결부된 연구들은 인증을 획득한 기업들의 기업성과와 가치, 효율성과 생산성 등은 향상되고 있는지, 인증획득에 따른 효율성은 충분한지 등에 대해 관심을 두고 수행되고 있다. 해당 연구들의 실증결과들은 연구의 목적과 대상, 연구의 수행 시기와 방법 등에 따라 일부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나, 해당 인증을 취득하게 되면, 매출액의 증가와 더불어, 총자산수익률(ROA, return on assets), 매출액이익률(ROS, return on sales) 등과 같은 재무적 성과의 개선은 물론, 주가, Tobin’Q 등과 같은 기업가치는 향상되고, 효율성까지 단편적으로 나마 개선됨을 확인해주었다(Ahn, 2017; Choi et al., 2023; Jeon et al., 2012; Kang and Lee, 2019; Kim et al., 2020; Lee et al., 2013; Park et al., 2014; Park et al., 2017; Park et al., 2020).
하지만, 관련 연구들은 기업의 가치와 재무적 성과, 상대적 또는 개별기업 내부차원의 효율성 등에 초점을 두고 수행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해당 제도에 따라 개별기업단위로 경영환경이 개선되고, 성과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면 물류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으로 까지 이어지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은 인증에 따른 개별기업 단위의 성과가 개별기업들의 투자활동으로까지 이어질 때, 양적인 성장과 질적인 성장이 동시에 달성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제도의 실효성을 효율성과 생산성 중심으로 접근한 선행연구들의 한계점 즉, 투자활동까지 반영하지 못한 점을 바탕으로 우수물류기업 인증에 따른 개별기업들의 효과가 투자활동으로 까지 이어져 물류산업의 양적인 성장으로까지 연계되는지를 실증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1장 서론을 바탕으로, 제2장에서는 물류기업 인증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의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연구모형 설정과 변수들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연구모형 검증결과들을 요약 제시하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2. 이론적 배경
우수물류기업 인증은 물류기업 개별단위 차원은 물론, 물류산업 차원의 성장과 발전 도모와 연계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관련 연구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하여 기업의 가치 또는 성과와 관련한 연구, 효율성과 결부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우선, ROA, ROS 등과 같은 재무성과와 생산성은 물론, Tobin’Q, 주가, 초과수익률 등의 기업가치 측면에서 접근해주고 있는 기업성과관련 연구들은 다소 상반된 결과들이 도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반된 결과들은 우수물류기업인증제도2)의 변화, 연구의 대상과 목적, 연구방법 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업성과 즉, ROA, ROS와 같은 수익성들은 인증 획득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인증 획득을 위한 기업 체질 개선효과가 기업성과를 견인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합물류기업 인증 12개사를 중심으로 종합물류기업인증의 실효성에 관해 연구한 Kim et al.(2020)은 인증에 따른 단기적 성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나, 장기적으로는 성과가 개선될 수 있음을 실증해주었다. 여기서 단기적 관계는 기업들이 인증 획득을 위해 행하게 되는 제반 활동 또는 비용 지출 등이 기업성과를 위축하게 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인증준비과정을 통해 개선된 내부 프로세스 등은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임에도 불구, 장기적으로는 기업성과(ROA, ROS)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그들은 또한, 기업가치와 연계된 주가는 인증 여부와 그 관계가 명확하지 않으며, 인증 취소에 따른 영향 또한 ROA와 단기적 관계만 가질뿐, ROS 및 주가와는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 해 주었다. Choi et al.(2023)은 또한, 물류산업의 양적 성장을 재무구조측면이 아닌 매출액으로 보고, 우수물류기업 인증이 물류산업의 양적 성장에 긍정적 즉, 매출액과 정(+)의 관련성이 있음을 실증해주기도 하였다.
재무성과관점에서는 단독 인증과 제휴 인증형태에 따라, 안정성, 성장성 및 경영효율성 등의 개별 요인들에서 차별적인 특징이 실증되고 있다. Jeon et al.(2012)는 관련 연구에서 안정성과 수익성은 인증 전후 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며, 단독 인증 기업의 수익성은 인증 후 낮아짐을 관찰하여 실증해 주었다. 반면, 부채 비율은 인증 후 개선됨을 제시하고, 이러한 특징은 인증 획득을 위한 부채수준 충족때문으로 언급해 주었다. 성장성과 경영효율성에서는 인증 후 매출액 증가율은 감소하나, 당기순이익 증가율은 큰 폭으로 높아짐을 제시하였다. 단독 인증기업은 특히, 매출액에는 변화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당기순이익은 크게 감소하며, 이러한 특징은 인증 획득에 따른 추가 비용지출에 따른 결과로 언급해 주었다. Tobin’Q를 기초로 한 기업가치는 인증전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으며, 인증 전 가치보다는 인증 후 가치가 다소나마 증가함을 제시해 주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투자효율성은 인증 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언급해 주었다.
기업의 생산성 측면에서는 다소 상반된 결과들이 도출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자들의 연구목적과 대상, 방법, 연구시기 등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Ahn(2017)은 53개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부트스트랩 맘퀴스트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종합물류인증기업의 생산성 비교분석결과에서 종합물류인증제도가 기업의 효율성이나 생산성과는 관계가 부족함을 언급해 주었다. 즉, 효율성과 생산성은 인증전후 유의한 관계가 관찰되지 않음을 제시해 주었다. 여기서 그는 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기업가치와도 연관됨을 감안할 때, 인증제도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해 주었다. 반면, Park et al.(2014)은 종합물류인증기업의 생산성 변화와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로서 인증획득이 인증기업들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에 긍정적임을 제시해 주기도 하였다. 즉, 인증기업들의 연평균 총요소생산성은 인증 취득 전보다 인증 취득 후에 향상됨을 실증해 주었다. 하지만, 총요소생산성 변화의 결정요인으로써 단독인증 및 제휴인증 여부, 기업규모(총자산규모), 부채규모(총자산대비 총부채), 수익성(ROS)은 그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음을 언급해 주었다.
상기의 연구들과 결부되어 종합물류기업 인증과 기업가치와의 관계 즉, 주가와는 장단기측면에서 차별적인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 되고 있다. Lee et al.(2013)는 관련연구에서 인증획득은 주가와 단기적으로 강한 양(+)의 관계가 존재하나, 이러한 관계는 인증 획득 2일전부터 인증 획득 2일 후까지만 지속됨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누적평균초과수익률 추이변화분석을 통해 인증 획득이라는 단일 사건은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지만, 시간에 지남에 따라 그 관계가 미미해짐을 언급해 주기도 하였다.
아울러 녹색인증제 획득 여부와 친환경 녹색물류관리 수준등 또한 성과와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가 연구되고 그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관련 연구들은 관련 내용이 기업의 매출 향상에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물류성과와도 영향관계가 있음을 실증해주고 있다. Bae et al.(2021)은 녹색인증제도가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녹색인증제도는 기업의 매출향상에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CO2 저감에도 긍정임을 언급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은 녹색인증제도가 효과적임을 역설해 주었다. 또한 친환경 녹색물류관리가 녹색물류활동은 물론, 물류성과와도 관계됨이 제시되고 있다. Park et al.(2020) 관련 연구에서 녹색물류활동 관리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녹색물류활동이 활발하며, 물류성과까지 높아짐을 실증해 주었다. 하지만, 녹색물류활동 관리수준과 물류성과와의 관계는 일부에서 관찰되는 특징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우수물류기업인증 여부에 따른 기업의 효율성관련 연구들은 기업성과관련 연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되고, 그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연구들은 DEA분석 등을 통한 단순 효율성분석(CCR, BCC 등)에 그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그 효과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우선, 효율성과 그 효과 측면에서 인증을 획득한 기업은 효율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Park et al.(2017)은 종합물류기업인증이 물류기업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관련 연구에서 인즉획득은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존재함을 실증해 주었다. 여기서 그들은 인증에 따른 효율성은 인증기업과 미인증기업 간에도 차이가 있으며, 인증기업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인증 연도와 미인증연도는 물론, 제휴인증과 단독인증 즉, 인증형태에 따라서도 인증에 따른 효율성은 차별적임을 언급해 주었다. 즉, 미인증연도보다는 인증연도가, 제휴인증 기업보다는 단독인증 기업의 효율성이 보다 높음을 실증하였다. 아울러 패널토빗모형분석을 통해 해당분석결과에 대한 강건성을 추가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또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됨을 확인 해 주었다. 반면, 다소 상반된 연구결과를 제시한 Oh et al.(2013)은 인증 획득 여부와 모기업 유무는 효율성과 생산성과는 영향관계가 없음을 실증하고, 물류기업의 개별적인 운영효율성을 강조해 주기도 하였다.
인증획득에 따른 개별기업단위의 효율성을 확인하고 제시한 연구들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이들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향상되었는지 보다는 효율성의 수준을 확인하고 향상방안 마련 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관심을 두었다(Kang and Lee, 2019; Kim, 2013; Park and So, 2013).
이상과 같이 우수물류기업인증관련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인증을 취득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해당기업들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확인하고, 그 시사점들을 제시하는데 관심을 두었으며, 재무성과와 결부된 연구들 또한 일부 수행되어 왔다. 이들 연구들은 결국, 인증을 취득한 기업들의 효율성과 생산성은 물론, 수익성 개선정도를 중심으로 해당 제도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들을 제시해 주었다. 반면, 인증 취득을 위한 준비과정과 취득 후 인증 유지를 위한 정기점검 활동은 지속적인 경영개선활동을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결과들은 결국 투자활동과 같은 경영활동의 활성화로까지 이어지게 될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증을 취득한 기업들이 인증을 취득한 후 경영활동의 활성화로까지 이어지는지를 투자활동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우수물류기업인증제도의 개선과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투자활동 측면에서 제시해고자 하였다.
3. 연구모형 설정
3.1 연구의 대상과 기간
본 연구는 우수물류기업 인증이 기업들의 투자활동으로까지 이어지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2024년 9월 기준 우수물류기업 인증을 획득한 98개사 중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스템을 통해 재무자료 획득이 가능한 기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여기서 2024년 인증기업의 경우 해당 연도 재무자료가 공시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이를 통해 우수물류기업 인증 총 98개사 중 2024년 인증기업 3개사, 비외감법인 즉, 재무자료가 공시되지 않은 26개사를 제외한 총 69개사를 기초로 연구모형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수물류기업 인증정보는 우수물류기업인증센터(https://celc.koti.re.kr/)를 통해 획득하였다.
Table 1과 같이 연구대상 기간 동안 총 1,404개의 패널개체 중 735개의 개체가 인증되고 있으며, 이들 중 2개 이상의 분야3)에서 인증된 개체 또한 90개로 구성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2000년-2023년으로 설정한 연구대상 기간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을 통해 재무자료 획득 가능 여부와 해당 인증제 운영시점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즉, 2006년 이후 관련 인증제도가 도입되어 운영 중인 점, 연구대상 기업들의 2000년도 이전 공시자료의 신뢰성과 빈도 등을 감안하여, 2000년 이후를 연구의 대상기간으로 최종 설정하였다.
3.2 연구모형과 채택 변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모형에 대한 기본 검증식은 식(1)과 같다.
yi,t = i기업 t기의 투자활동(투자지출현금흐름)
X1,i,t = i기업 t기의 우수물류기업 인증유무
X2,i,t = i기업 t기의 통제변수(자산규모, 매출규모, 레버리지, 자산유형화)
ui=패널개체별 특성 ei,t=오차항
i=69개 우수물류인증 기업 t=2000년-2023년
여기서 yi,t는 연구대상 i기업들이 투자를 위해 지출하게 되는 t연도 현금흐름을 나타내며, 해당 변수(IST)는 개별기업들의 현금흐름표 상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을 기초자산으로 표준화하여 산출하였다(Lee, 2024; Lee et al., 2013). x1,i,,t는 i기업의 t연도 우수물류기업 인증 유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CRT)로써 미인증기간은 0, 인증기간은 1로 적용하였다. 아울러 우수물류기업인증분야가 6개 분야인 점을 감안하여, 2개 분야 이상 인증을 획득할 경우, 또한 관심변수(DCRT)로써 채택하였다. 여기서 이중 인증기간은 1,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미인증기간과 1개 분야 인증기간은 0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최종 검증모형식4)들은 식(2), 식(3) 및 식(4)와 같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를 나타내는 식(1)의 x2,i,,t는 Lee(2024) 및 Lee et al.(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물류기업들의 투자활동과 관련성이 확인된 4개 변수를 채택하였다. 규모측면에서는 기업규모(SZE)와 매출규모(SAL)를 채택하였으며, 여기서 전자는 총자산의 장부가에 자연대수를 취함으로써, 후자는 기초자산으로 표준화함으로써 산출하였다. 부채규모(DBT)는 장부가 기준 총자산대비 총부채 규모로, 자산유형화(TAZ)정도는 유형자산의 장부가 대비 총자산 규모로 표준화하여 산출 및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 검증에 활용한 인증기업들의 재무자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을 통해 획득하고, 활용하였다.
3.3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0-2023년 동안 우수물류인증을 획득한 69개 물류기업들의 1,404개 패널자료를 연구모형 검증에 활용하였다. 따라서 해당 검증에는 패널개체에 대한 특성은 물론, 오차항에 대한 이분산성(heteroskedasticity)과 자기상관문제(autocorrelation)를 검증하고, 통제할 필요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LS(Ordinary Least Squares)모형, FGLS(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s)모형, Fixed Effects 또는 Random Effects 모형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완화해 보고자 하였다.
OLS모형에서는 우선 69개 패널개체는 물론, 시간변수(연도)를 더미변수화함으로써 패널개체와 시간특성을 1차적으로 통제해보고자 하였으며, FGLS모형에서는 오차항에 대한 이분산성과 자기상관검증을 통해 해당 가정을 통제한 후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ei,t의 자기상관문제는 Wooldrige검정을 통해 그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ei,t에 대한 이분산성문제는 Likelihood ratio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식(1)에서 ui를 추정해야 할 모수로 볼지, 확률변수로 볼지는 Hausman검정을 통해 확인하고 그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4. 실증분석
4.1 기초통계량과 상관관계
Table 2는 책택된 변수들의 기초통계량을 나타내며, 관심변수인 CRT와 DCRT는 더미변수인 점을 감안하여 기초통계량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여기서 overall은 패널개체와 시간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기초통계량을 의미하며, between은 패널개체 간, within은 패널개체 내 기초통계량5)을 나타내고 있다.
상관관계와 공선성 진단결과는 Table 3과 같으며, 종속변수인 IST(투자활동)는 인증여부(CRT)변수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2개 분야 인증여부(DCRT)변수는 정(+)의 상관관계가 확인 되었다. 하지만, 인증여부(CRT)변수의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통제변수인 기업규모(SZE), 부채규모(DBT), 자산유형화(TAZ)수준 변수는 정(+)의 상관관계가 확인되고 있으나, 자산유형화 수준(TAZ)변수의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공선성진단결과에서는 모든 변수들에서 공선성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2 연구모형 검증결과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검증모형식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 4-Table 6과 같다. 여기서 OLS모형에서는 패널개체의 특성과 시간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더미변수화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오차항에 대한 이분산성과 자기상관을 통제한 FGLS모형에서는 자기상관검정결과는 0.05수준에서 자기상관이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였으나, 이분산성검정결과는 0.05의 유의수준에서 이분산성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해당 결과들을 반영하였다. 아울러 Hausman 검정결과(유의수준 0.01수준)를 바탕으로 Fixed Effects모형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으며, 패널개체의 특성을 고려할지에 대한 F검정결과는 0.01의 유의수준에서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6)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검증 모형식(2)에 대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여기서 인증여부변수(CRT)는 인증획득 기업들의 투자활동변수(IST)와는 부(-)의 관련성이 확인되었으나, 이중인증 즉, 2개분야 이상 인증변수(DCRT)는 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우수물류인증을 획득한 기업들은 인증획득 후 투자활동현금흐름이 다소 위축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특징은 Kim et al.(2020)의 연구결과에서 실증된 인증 획득기업의 재무성과는 단기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Kim et al.(2020)의 연구에서 언급된 인증 획득과 유지를 위한 비용지출은 기업의 단기적 재무성과를 위축하고, 이러한 결과들이 인증기업들의 투자위축으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2개 분야에 대한 인증획득은 투자활동과 정(+)의 관련성이 확인 되고 있으며, 이는 2개 이상의 분야에 대한 인증획득이 가능한 수준으로 경영환경이 개선이 되었고, 이러한 결과가 투자활동의 활성화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통제변수들에 대한 결과는 Lee(2024) 및 Lee et al.(201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여기서 기업규모(SZE)와 부채규모(DBT)는 투자활동과 정(+)의 관련성이 확인되어 기업규모가 크고, 부채규모가 증가할수록 투자관련 활동이 활발해짐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투자에 보다 적극적이며, 물류설비 등 유형자산에 대한 높은 비중이 외부 자본조달의 가능성이 높아 부채규모와는 정(+)의 관련성이 관찰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매출규모(SAL)와 자산유형화수준(TAZ)는 투자활동과 부(-)의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매출규모(SAL)는 종속변수가 투자활동지출 현금규모인점이, 자산유형화수준(TAZ)은 높은 자산유형화 정도는 물류설비 등 유형자산에 대한 투자가 기 이루진 결과가 반영됨으로써 부(-)의 관계가 관찰된 것으로 판단된다.
4.3 강건성
아울러, 연구모형 검증식 모형 (3)을 바탕으로 한 분석결과의 강건성을 검증식 (4)와 (5)를 통해 확인7)해보고자 하였으며, Table 5와 Table 6과 같이 연구모형 검증식 (2)의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 주어 기본 검증식에 대한 결과를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증 획득에 따른 투자활동과의 관계를 Kim et al.(2020)과 Lee et al.(2013) 연구에서 언급된 단기적 측면에서 영향관계가 있음을 반영하여 추가적인 분석모형을 설정하고, 결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연구검증 모형식 (1)을 바탕으로 인증여부에 대한 변수에 유의수준이 확인되지 않는 시차까지 time-lag 형태로 적용8)하였다.
분석결과, 인증 획득(CRT)에 따른 기업들의 투자활동 위축은 단기보다는 장기에 걸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영향관계는 다소나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2개 분야 인증(DCRT)에 따른 투자활동은 7시차(time-lag)이상에 걸쳐 그 효과가 관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Kim et al.(2020)과 Lee et al.(2013)에서 언급된 인증효과와 재무성과 및 기업가치와는 단기적 영향관계가 존재한다는 실증결과와는 달리 인증에 따른 투자활동에 대한 영향은 장기에 걸쳐 발생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 결 론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실증되고 있는 우수물류기업인증이 재무적 성과는 물론, 기업가치와도 연계되고, 효율성까지 단편적으로 나마 향상된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결과들이 투자활동으로까지 이어지는지를 확인해보고자 수행하였다. 즉, 우수물류기업인증제도에 대한 효과를 기업투자활동의 활성화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9월 기준 우수물류기업인증을 획득한 기업 69개사를 대상으로 총 1,404개의 재무패널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연구목적을 달성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축한 자료가 패널자료임을 감안하여, 패널개체와 시간특성, 오차항의 이분산성과 자기상관 등을 고려한 후 그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우수물류기업 인증 획득여부변수(CRT)와 투자활동(IST)간에는 부(-)의 관련성이 확인되어, 인증획득 후 투자활동현금흐름이 위축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Kim et al.(2020)의 연구에서 실증된 인증 획득기업의 재무성과는 단기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는 결과의 연장선, 즉 인증획득에 따라 단기적으로 위축된 재무성과가 투자활동 위축으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2개분야 이상 인증 획득여부변수(DCRT)는 투자활동(IST)과 정(+)의 관련성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2개 이상의 분야에 인증을 획득한 기업의 경우 해당 수준으로 경영환경 등이 개선되었고, 이러한 경영환경 개선 등이 반영되어 투자활동 활성화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통제변수들 중 기업규모(SZE)와 부채수준(DBT)는 투자활동과 정(+)의 관련성이, 매출규모(SAL)과 자산유형화수준(TAZ)는 부(-)의 관련성을 보여, 물류기업대상 투자관련 연구인 Lee(2024) 및 Lee et al.(2013)의 결과와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강건성분석에서 또한 기본모형분석결과를 재차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인증획득에 따른 투자활동의 위축은 장기간에 걸쳐 영향관계가 있음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우수물류기업 인증제도의 운영과 개선에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인증제도의 실효성은 인증획득에 따른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경쟁력은 경영환경 개선과 재무성과를 넘어 투자활동까지 활발히 이루질 때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첫째, 인증을 취득한 기업들의 투자활동이 장기간에 걸쳐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해당제도가 개별기업단위는 물론, 물류산업 전체의 성장을 전제로 함을 감안할 때, 장기간에 걸친 투자활동 위축은 이러한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할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둘째, 2개 분야에 걸쳐 인증이 이루어진 기업들의 투자활동은 인증 후 투자활동 현금지출이 증가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은 2개 분야에 걸쳐 인증이 가능한 수준으로 기업의 경영환경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관찰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우수물류기업 인증을 획득한 기업들의 투자활동과 인증 획득 여부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는데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운영 중인 우수물류기업인증제도의 운영과 개선에 유용한 정보, 즉, 재무성과 및 효율성 측면이 아닌 투자활동정보까지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투자활동을 현금주의에 입각한 투자활동지출 현금흐름을 기초로 한 점은 한계로 남아 있을 것이다. 또한, 인증에 따른 투자활동의 차별적 특징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본 연구의 시사점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Notes
우수물류기업인증은 관련법령에 따라 물류시설 우선입주, 우선적 재정지원, 직접 운송의 인정, 통관취급법인 허용, 사업양도금지기간의 미적용 등의 혜택을 받게 되며, 이들에 대한 혜택은 물류정책기본법 제42조, 동법 시행령 제30조, 물류시설법 제21조,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11조와 43조, 관세사법 제19조에 입각하고 있음.
제시된 선행연구들은 2013년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연구들로 구성되고 있으나, 종합물류기업인증, 우수화물운수사업자인증, 우수물류창고업체인증, 우수국제물류주선업체인증 및 우수화물정보망인증 등 업종별로 시행되고 있는 인증제도는 2015년 물류정책기본법 개정을 통해 우수물류기업인증으로 통합운영되고 있음. 하지만, 우수물류기업인증 분야는 구분하고 있음.
우수물류인증은 통합인증 형태로 운영 중이나, 종합물류서비스기업 분야, 국제물류주선기업분야, 화물자동차운송기업 분야, 물류창고 기업 분야, 화물정보망기업 분야, 항만구역 내 물류창고기업 분야 총 6개 분야로 구성되고 있으며, 세부적인 사항은 Table 1과 같음.
식(2), 식(3)과 식(4)에서 제시되고 있는 변수 IST(투자지출현금흐름/기초자산)는 투자활동변수를, CRT(인증=1, 미인증=0)와 DCRT (이중인증=1, 그 외=0)는 우수물류기업 인증더미를, SZE(log(총자산)), SAL(매출액/기초자산), DBT(총부채/총자산) 및 TAZ(유형자산/기초자산)은 통제변수를 나타내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재무자료의 장부가를 기초로 하고 있음.
기초통계량은 연구모형 검증식 내 변수들을 기초로하고 있으며, 해당 식 내 변수 산출과정에 시차(time-lag)가 반영됨으로써 기업 수(n)는 차이가 없으나, 패널개체(N)에는 연구대상에서 제시된 값과 차이를 보임.
이분산성과 자기상관, Hausman 검정결과는 연구모형 검증식 (2), (3), (4)에서 동일하게 분석되어 이를 반영한 결과들을 제시함.
강건성은 인증여부변수들 중 특정 변수에 의해 결과가 달라 질 수 있음을 감안하여 수행함
해당 강건성 검증모형은 인증에 따른 장기효과를 보고자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 시차효과 즉, t-n 회계연도와 투자활동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기에, 시차가 고려된 개별적인 time-laged변수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함. 분석결과는 Hausman검정 등을 통한 Fixed Effects model을 기초로 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