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관광객 대상 해양치유관광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목포-제주 관광객을 중심으로-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the Marine Healing Tourism Selective Attributes for Domestic Tourists –Focusing on Mokpo-Jeju Tourists-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양치유관광 활성화를 위해 실제 크루즈·여객선 탑승 관광객을 대상으로 해양치유 홍보, 해양치유 안전과 편의성, 해양치유 시설 환경, 해양치유 자원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시행하여 해양치유관광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양치유관광에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를 통해 평가 측정 요소을 알아보고 선택속성별 해양치유관광의 재구매 의도에서 미치는 영향도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매 의도의 요인(만족, 이용, 상품 추천)으로 도출하였다. 해양치유 홍보, 해양치유 안전과 편의성, 해양치유 시설 환경, 해양치유 자원의 하위요인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과 재구매 의도 간의 영향을 확인 및 분석하였다. 확인 결과 Durbin-Watson은 1.472로 2에 가까운 값이므로 모형의 독립성을 보이고 있다. 독립변수간 다중공선성은 VIF 지수가 10미만으로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에 적합한 모형으로 보여지고 있다.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의 요인들은 유의확율 .001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어 재구매 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해양치유관광 유치, 대중화, 활성화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해양치유관광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Trans Abstrac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revitalize domestic marine healing tourism, focusing on marine healing promotion, safety and convenience, facility environ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moderation-satisfact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marine healing resources for actual cruise and passenger ship passengers.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marine healing tourism satisfaction. Evaluation measurement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selected attributes in marine healing tourism. The influence of selection attributes on the repurchase intention of marine healing tourism was examin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actors influencing repurchase intention were derived, including satisfaction, usage, and product recommendations. The study confirm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sub-factors—marine healing promotion, safety and convenience, facility environment, and resources—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marine healing tourism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Durbin-Watson statistic was found to be 1.472, which is close to 2, indicating the independence of the model. No multicollinearity among independent variables was observed, as the VIF index was below 10, suggesting that the model is suitable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election attributes of marine healing tourism had a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of .001, indicating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purchase.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impact on satisfaction with marine healing tourism, using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as foundational data for attracting, popularizing, and activating marine healing tourism.
1. 서 론
우리나라의 도시인구 비율은 196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빠르게 증가하여 오늘날 전체 인구의 91.8%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도시화는 생활의 편리함과 안락함, 교육과 문화 접촉의 기회를 가져다주어 삶의 질을 향상시켰지만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는 현대인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Song et al., 2022).
건강한 삶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스트레스 관리, 자아 성찰과 성장, 사회적 관계의 의미를 충족시켜주는 휴양 및 치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Kim and amd Kim, 2021). 또한, 현대인의 평균수명 증가,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해 건강, 휴양 및 치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건강 관련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자연 친화적인 레저활동이나 야외, 청정관광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자연자원을 활용한 휴양공간의 조성 및 치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Lee, 2021).
치유에 관한 인식이 코로나 19 이전에 비해 이후에 매우 높아졌다는 최근 연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치유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정통의학이나 대체의학에 비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Lee, 2022).
해양치유 관련해서 우리나라는 2020년 초반에 ‘해양치유자원의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률의 제정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2020년에 ‘해양치유산업 활성화 계획’을 정책적으로 발표하였다(Woo, 2020). 법률 및 해양치유의 기본적인 개념과 체계가 제도적으로 마련되면서 해양치유의 국민적 관심에 증대되고 있다.
기존 해양치유 관련 연구들은 해양치유 인식에 따른 기대효과 및 이용 의도, 정신건강 증진 및 우울 완화 효과, 치유시설 및 치유프로그램 연구 동향 등 주로 공급적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고, 또한, 해양치유에 관한 정책적·산업적 중요성이 커지고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해양치유 이용자 관점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Yoon, 2023). 그러나 해양치유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국내 관광객 대상 해양치유관광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제 국내 크루즈·여객선 탑승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해양치유 홍보, 해양치유 안전과 편의성, 해양치유 시설 환경, 해양치유 자원에 대한 해양치유관광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해양치유관광 유치, 대중화,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해양치유관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문헌연구 조사 및 검토를 토대로 한 연구의 흐름을 조사 및 검토하고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해양치유관광의 선택속성, 측정변수 및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국내 크루즈·여객선 탑승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해양치유관광 설문을 시행했으며 실증분석을 통한 국내 해양치유관광객 유치, 대중화 및 활성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 이론적 연구
2.1 해양치유관광
해양관광 활동 유형은 해양스포츠, 전통적 해양레저, 외항크루즈, 해양관광시설 등의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Ji and Shin, 2015).
해양치유는 해양기후, 해수, 해양생물자원 등을 상품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체적·정신적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의료기관, 휴양기관 등에서 질병 치료와 건강의 유지, 정서적·심리적 치료와 휴양을 추구하는 것이다(Ha, 2019).
해양관광은 관광의 개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목적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일상생활을 벗어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한 행위이며, 공간 측면은 해역과 연안에 접한 단위 지역사회에서 일어나는 관광 활동이고, 형태 측면은 직·간접으로 해양공간에 의존하거나 연관된 활동으로 제시하였다(Han, 2015). 또한, 해양관광은 해변을 중심으로 하는 휴식과 레저를 겸하는 것으로 해수욕, 파도타기, 모래찜질, 낚시, 갯벌체험 등을 관광을 하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Ji and Shin, 2015).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사회 전반에서 치유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치유 활동과 소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Yoon et al., 2023).
2.2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
일반적으로 속성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대상에 속하는 성질’이며, “소비자는 상품을 상품 자체로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속성의 덩어리를 사는 것”이라고 주장 한데서 그 용어가 유래하였다. 속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의 선호도와 구매하는데 차이를 일으키는 상품의 속성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며 상품속성이 다른 속성들과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가가 선택속성이라고 제시하였다(Lee and Kwon, 2011).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선택속성 측정변수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 해양치유 선택속성의 평가 측정변수로 제시하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Kim(2016)은 이용객들의 선택속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치유에 대한 기대가치와 만족도에 어떤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용객들의 요구에 부합된 치유의 입지와 프로그램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Sim(2015)은 수요자들이 어떠한 관광자원 유형을 선호하고 선택속성에 따른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 또한 프로그램은 어떠한 부분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특정변수를 도출하여 각각의 개념 간 모형 검증으로 체계적 성장을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Seong(2021)은 웰니스 관광 개념을 파악하고 외래 관광객 유치를 위한 해양치유 자원이 관광자원으로 인식과 가능성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관광객의 행동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및 시설 조성, 연계 프로그램 개발, 실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을 제시하였다.
Kim(2022)은 해양 선호도가 해양치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해양 선호도가 높다는 것은 해양과 해양자원을 신뢰하고 있음을 나타내는데 해양을 얼마만큼 신뢰하고 있는지에 따라 해양치유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Hong et al.(2019)는 해양치유의 개념과 정책 방향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해양치유를 통한 심신의 안정 및 치유효과, 건강 증진 사례 등에 대해 홍보를 제시했으면 해양치유 R&D 사업을 통해 해양자원을 발굴하고 자원의 치유 효능을 입증하고 치유 효능 연구 결과 자료를 언론매체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해양치유에 대한 관심을 국민들에게 유도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2.3 중요도-만족도 분석
중요도-만족도 기법은 상품이나, 서비스가 갖고 있는 선택속성들의 중요도와 성취도가 소비자에게 어떻게 인식되어 가고 있는지를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으로 마케팅 분야에서 개발된 기법이다(Suh et al., 2015).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은 Martilla(마아티어)와 James(제임스)(1977)가 처음 제안한 마케팅 틀로 어떠한 상품이나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중요 속성들에 대해 소비자가 인식하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는 지표이다. 소비자가 그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중요하게 생각 하는 것과 이용 후에 속성에 대한 수행도를 소비자가 평가하는 것을 바탕으로 중요 속성들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동시에 비교하고 분석하는 기법이다(Hong and Yang, 2012).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이용한 치유 관광분야 연구를 살펴보면 Table 2와 같다.
Park(2009)은 관광객들의 관광목적지 매력물로 작용할 수 있는 기본 속성의 이해와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관광지 매력 요인에 대한 방문 전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관광목적지 개발정책에 도움이 되는 전략적인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였다.
Jeong(2022)은 웰니스 관광 활동을 5가지 활동 요인으로 구분하고 세부 활동 요인을 도출하여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웰니스관광 활동 중 자연치유 활동은 높은 중요도와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는 활동 요인이었고 이와 반대로 심리적 활동은 낮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는 활동요인으로 제시하였다.
Yoon et al.(2017)은 해양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일치는 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과 프로그램의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치유 프로그램 참여자 만족은 프로그램 지속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양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역시 프로그램 참여자 만족 및 지속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a(2019)는 해양치유는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재활치료를 위하여 해양치유자원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해양치유자원은 크게 기후자원, 해수자원, 광물자원, 생물자원, 환경자원으로구분하여 다향한 프로그램 구성 제시하였다.
Lee(2016)은 관광 목적지로서 섬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긍정적인 구전의도가 성공적인 섬관광 마케팅의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중요도-만족도 기법을 이용하여 섬 관광 목적지의 관광 속성을 분석 제시하였다.
2.4 재구매 의도
Kim and Oh(2002)는 재구매 의도는 고객이 미래에도 서비스 제공자를 반복하여 이용할 가능성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실제적인 재구매 행동 및 고객유지와 밀접하게 관련있다. 실제적인 재구매행동이나 관계지속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시켜 실제 행위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회심리학과 마케팅에서 광범위한 개념으로 설명되고 있다. 사회심리학과 사회교환이론과 투자이론은 재구매의도를 관계유지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마케팅의 유통관리와 조직행동은 재구매의도를 관계몰입의 측면에서 관계를 지속시키기 위한 의도로 제시하였다.
Jung and Han(2017)은 고객행동의도 중 하나인 재구매의도는 상품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시 소비하고자 하는 가능성을 말하며 고객의 미래행동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므로 기업의 지속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과거의 경험에 기인한 현재의 판단으로 미래에 발생할 행동이므로 예측타당성에 대한 연구로 선행 되어왔다고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이용한 재구매의 연구를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Jeong and Han(2017)은 관광 동기요인이 관광에 대한 긍정적 가치를 형성하고, 긍정적 가치는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호의적 태도로 인해 재구매의도를 갖게 한다는 관광을 재구매하기 위한 관광객의 의사결정과정을 제시하였다.
Lee(2017)은 해양관광활동이 제주를 여행지로 선택하는데 미친 영향에 대한 평균 차이를 분석하고 제주방문 행태별 만족도에 대한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제주방문 행태별 재방문의사에 대한 평균 차이를 분석 제시하였다.
Kim and Yhang(2018)은 해양관광 목적지에 대한 품질과, 비용, 편의성을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방문 가치 자체에 대한 만족 줄 수 있음을 제시했으며 또한, 충분히 만족한 방문객은 대안의 매력도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Kim(2020)은 자연관광과 치유체험의 구성요소를 규명함으로써 요소의 폭을 확정하였고 자연관광과 치유체험의 세부적 영향 관계를 제시하였으며 치유체험의 모든 구성요소는 만족에 영향을 미침으로 관광상품 및 관광 목적지 등의 운영주체는 치유체험 요소를 확대 및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Kim at al(2023)은 사람중심접근법에 기인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해양관광 선택속성 프로파일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해양관광 상품 선택 시 인프라, 서비스, 접근성, 관광콘텐츠, 안내, 매력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프로파일 그룹에 속한 해양관광객이 관광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논문의 치유, 해양치유관광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를 통해 재구매 의도에서 미치는 영향도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매 의도의 요인(만족, 이용, 상품 추천)으로 도출하였다.
3. 연구방법
3.1 조사 설계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해양치유관광 활성화를 위해 크루즈·여객선 탑승 관광객을 대상으로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해양치유관광 제품 및 상품을 개선하고 대중에게 해양치유관광 활성화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를 크루즈·여객선 탑승 관광객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평가하고 평가를 통해 취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양치유관광 중요도-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측정요인에서 형성한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를 중심으로 측정요인 평가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재구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제시하였다.
만족도-중요도 분석을 위한 매트릭스는 Fig. 1과 같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제1사분면 유지(Keep up the Good Work)는 해양치유관광객의 평가항목 측정변수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면 현 상태로 평가항목 측정변수를 유지시켜 나가야 한다(Park, 2009). 제2사분면 집중(Concentrate Here)은 해양치유관광객의 평가항목 측정변수에 대해 중요도를 높게 평가되고 만족도는 낮게 평가되면 낮게 평가된 평가항목 측정변수를 대상으로 집중 관리전략이 필요로 한다(Roh and Jo, 2007). 제3사분면 저순위(Low Priority)은 해양치유관광객이 평가항목 측정변수에 대해서 중요도-만족도가 모두 낮게 평가한 평가항목 측정변수를 관리전략 수립시 평가 측정변수를 제외하고 적절하게 관리 조절이 필요가 있다(Kim, 2012).
제4사분면 과잉(Possible Overkill)은 해양치유관광객이 평가항목 측정변수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평가항목 측정변수에 대해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게 된것으로 고려대상 측정변수 분류 및 다른 평가항목 측정변수에 투입되어야 한다(Jeong and Seo, 2010).
3.2 설문지 구성 및 자료수집
본 논문의 설문 항목은 웰니스, 의료, 자연치유, 관광지 및 해양치유 선택속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측정항목을 바탕으로 20개 해양치유 선택속성을 도출하여 설문에 이용하였다.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5문항과 일반사항은 해양치유 경험, 월소득, 동반 유형, 정보 습득 경로, 해양치유 횟수을 포함한 문항 5가지 측정변수를 설문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 구성에 대한 측정항목의 선행연구는 Table 4와 같다.
3.3 표본추출 및 분석 방법
본 연구는 태안-해염, 울진-심층암반해수, 고성-해양경관, 완도-해조류, 기타 해양치유관광 등 관련 기반으로 국내 관광객 대상 해양치유관광의 선택속성을 바탕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위해 실제 S사의 크루즈·여객선 탑승 관광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사전에 훈련된 설문 요원 20명이 크루즈·여객선에 함께 탑승하여 2024년 4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응답자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직접 읽어보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총 200부 배포하여 162부를 회수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7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중요도-만족도의 차이 검증을 증명하기 위해 분석에 활용될 기법은 t-test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들의 평가항목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증명하기 위해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진행하고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을 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 활용하였다.
4. 분석결과
4.1 표본의 일반적 특성
국내 해양치유관광 표본의 특징은 남성 74명(45.7%), 여성 88명(54.3)의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연령대는 20대 41명(25.3%), 30대 29(17.9%), 40대 49명(30.2%), 50대 34(21%), 60대 이상 9명(5.6%)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직업, 학력, 결혼 유무, 월 소득, 동반 유형, 해양치유정보에 대해서 지인추천 49명(30.2%), 기타 SNS 35명(21.6%), SNS 35명(21.6%), 홈페이지 18명(11.1%), 광고매체 13명(8.0%), 여행사 12명(7.4%)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치유 경험에 대해서 96명(59.3%)가 해양치유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연간 해양치유 횟수는 0회 66명(40.7%), 1-2회 88(54.3%), 3회 이상 8(4.9%)으로 조사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Table 5와 같다.
4.2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결과
해양치유관광의 중요도-만족도 평균값과 신뢰계수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해양치유관광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요도 항목요인은 전문인력서비스(M=4.571), 이용료(M=4.556), 검증된 치유(치료)효능(M=4.549), 해양치유 자원(M=4.537), 쾌적한 편의시설(M=4.525), 해양기후(M=4.519), 공동장소 청결(M=4.506) 등의 순으로 응답자들에게 중요하게 인식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요도 20개 항목의 내적인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 측정 결과 Cronbach’s α계수는 0.962로 분석되었다.
해양치유관광의 경험적 요인별 만족도 항목요인의 경우는 이용료(M=4.426), 전문인력서비스(M=4.401), 해양치유 자원(M=4389), 검증된 치유효능(M=4.358), 휴식 공간(M=4.346), 관광·오락 연계(M=4.340), 해양 기후(M=4.321) 등의 순으로 응답자들에게 만족되는 것으로 인식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 20개 항목의 내적인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신뢰도 분석 측정 결과 Cronbach’s α계수는 0.966으로 분석되었다.
4.3 중요도-만족도 분석결과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위해 항목의 요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속성들을 분석하였다. 모든 항목의 요인별 중요도-만족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중요도-만족도 항목의 요인 간 차이를 알아보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t-test) 실시하였으며 평균의 차이와 유의도를 분석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20개의 항목의 요인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중요도-만족도 항목의 요인에 대한 IPA 분석을 통해 선택적 항목의 요인별 내용으로 Fig. 2와 같이 IPA 매트릭스 측정 결과를 얻었다.
4.4 재구매 의도 분석결과
크루즈 선택속성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택속성별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택속성 20개의 측정 변수들을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주성분 분석과 베리맥스 회전을 적용하기 위해 하위요인 구성하였다.
요인분석에서 표본의 적합성 결과는 KMO계수 0.956,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카이제곱 검정계수 3412.669, 자유도 190, 유의확율 0.000으로 요인분석 결과를 얻었으며 요인분석 결과 적합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위요인 구성의 Cronbach’s α 값은 해양치유 홍보-.918, 해양치유 안전과 편의성-.924, 해양치유 시설 환경-0.912, 해양치유 자원-0.898의 신뢰도 값을 얻었다. 선택속성별 요인분석의 하위요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Table 8과 같다.
해양치유 홍보, 해양치유 안전과 편의성, 해양치유 시설 환경, 해양치유 자원의 하위요인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과 재구매 의도 간의 영향을 확인 및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Durbin-Watson은 1.472로 2에 가까운 값이므로 모형의 독립성을 보이고 있다. 독립변수간 다중공선성은 VIF 지수가 10미만으로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에 적합한 모형으로 보여지고 있다.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의 요인들은 유의확율 0.001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어 재구매 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의 하의요인별 분석결과는 Table 9와 같다.
5. 결론 및 향후과제
현대사회의 급격한 노령화 추세와 산업기술의 발달은 만성질환, 환경성질환, 우울증 및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급속한 증가를 가져왔으며 발전한 의료기술의 한계로 인해 해양자원이나 산림자원 등 자연자원을 활용한 자연치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Lee, 2022).
치유에 관한 인식이 코로나 19 이전에 비해 이후에 매우 높아졌다는 최근 연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치유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정통의학이나 대체의학에 비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Lee, 2022).
기존 해양치유 관련 연구들은 해양치유 인식에 따른 기대효과 및 이용 의도, 정신건강 증진 및 우울 완화 효과, 치유시설 및 치유프로그램 연구 동향 등 주로 공급적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고, 또한, 해양치유에 관한 정책적·산업적 중요성이 커지고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해양치유 이용자 관점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Yoon, 2023). 그러나 해양치유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국내 관광객 대상 해양치유관광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제 국내 크루즈·여객선 탑승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해양치유 홍보, 해양치유 안전과 편의성, 해양치유 시설 환경, 해양치유 자원에 대한 해양치유관광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해양치유관광 유치, 대중화, 활성화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해양치유관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연구 분석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국내 해양치유관광 표본의 특징은 남성 74명(45.7%), 여성 88명(54.3)의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연령대는 20대 41명(25.3%), 30대 29(17.9%), 40대 49명(30.2%), 50대 34(21%), 60대 이상 9명(5.6%)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해양치유 경험에 대해서 96명(59.3%)가 해양치유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연간 해양치유 횟수는 0회 66명(40.7%), 1-2회 88(54.3%), 3회 이상 8(4.9%)으로 조사되었다.
두 번째, 크루즈 IPA분석 결과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집중 영역으로 제2사분면(집중)-중요도 높고 만족도는 낮은 속성을 가진 공공장도 청결, 쾌적한 편의시설, 다양한 프로그램 관련된 속성들이 포함되었다. 제3분면(저순위)-중요도 낮고 만족도도 낮은 저순위 영역으로 접근성 및 주변 인프라, 감염병으로부터 안전성, 위생적 및 편리성, 자연환경의 보전 상태, 다양한 위락시설, 치유시설 명성과 인지도, 지역 인지도, 편리한 주차 속성들이 포함되었다. 이는 중요도가 낮게 측정되어 개선해야 되어야 할 영역이지만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으로 분석 조사되었다. 제4분면(과잉)-중요도 낮고 만족도는 높은 과잉 영역에는 바다 경관, 관광·오락 연계은 집중영역으로 투자하여 집중영역 속성들이 유지영역 속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선의 여지가 필요하다. 제1사분면(유지)-중요도 높고 만족도도 높은 속성들은 해양치유자원의 안전성, 휴식 공간, 전문인력 서비스, 이용료, 검증된 치유효능, 해양 기후, 해양치유 자원으로 그대로 유지하면 되는 영역 속성들이 포함되었다.
세 번째, 요인분석에서 표본의 적합성 결과는 KMO계수 0.956,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카이제곱 검정계수 3412.669, 자유도 190, 유의확율 0.000으로 요인분석 결과를 얻었으며 요인분석 결과 적합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위요인 구성의 Cronbach’s α 값은 해양치유 홍보-0.918, 해양치유 안전과 편의성-0.924, 해양치유 시설 환경-0.912, 해양치유 자원-0.898의 신뢰도 값을 얻었다. 해양치유 홍보, 해양치유 안전과 편의성, 해양치유 시설 환경, 해양치유 자원의 하위요인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과 재구매 의도 간의 영향을 확인 및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Durbin-Watson은 1.472로 2에 가까운 값이므로 모형의 독립성을 보이고 있다. 독립변수간 다중공선성은 VIF 지수가 10미만으로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에 적합한 모형으로 보여지고 있다.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의 요인들은 유의확율 0.001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어 재구매 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국내 해양치유관광의 활성화 진행 단계에 있어 국내 관광객 대상 해양치유관광의 정보를 얻기가 힘든 상황으로 실제 국내 목포-제주 관광객 대상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조사 대상이 특정 크루즈·여객선 탑승 관광객 대상으로 국내 해양치유관광 선택속성 자료를 파악하여 중요도-만족도 분석 진행하여 미흡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추후 연구 대상으로는 국제 해양치유관광 부산-일본 관광객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 예정으로 이를 통해 해양치유관광 관광객 유치, 대중화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해양치유관광 발전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