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양선박 선원들의 해양원격의료 실태를 통한 임상분석

Clinical Analysis of Marine Telemedicine Cases for Ocean-Going Vessel Crew

Article information

J Navig Port Res. 2018;42(1):31-38
* 부산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 cmcm24@hanmail.net 051) 510-7382
** 부산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장 impark@pusan.ac.kr 051) 510-7382
부산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이 창민*, 박 익민**, 최 병관
* Researcher, Institute of Convergence Medical Techn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609-737, Korea
** President, Institute of Convergence Medical Techn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609-737, Korea
Professor, Department of Neuro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4924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정회원, spine@pusan.ac.kr 051) 240-7257
Received 2018 January 11; Revised 2018 February 20; Accepted 2018 February 20.

Abstract

본 연구는 원양선박에서 발생하는 선원들의 질환을 원격의료시스템을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진단명 및 질병분류의 분석을 통해 원양선박 선원들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6하반기부터 2017년까지 약 14개월 동안 원격 진 료를 통해 수집된 총 195명의 선원들의 진단명, 개인적, 건강적 특성을 수집하여 양적분석을 하였다. 질환발생 빈도에서 두드러기(5.6%), 요부염좌(4.1%), 급성위장관염(3.1%) 및 불안(3.1%) 등이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상병으로 분석되었다. 질병분류에서는 근골격계(25.1%), 피부계(17.9%), 소화기계(11.3%) 순으로 나타났다. 원격의료의 발생은 30세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사관 보다는 부원의 질병발생이 많았다. 교차분석(Ⅹ² 검정)에서 질병이 외상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발생이 많았으며(p<.001), 선박의 종류(상선과 어선)에 따른 병인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p<.005).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prevention of diseases and promotion of health of ocean going vessel crew members, through the medical diagnosis and disease classification efforts of this study. From the second half of 2016 to 2017, the diagnosis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195 crew members were collected through counseling, treatment, and emergency care for about 1 year and 2 months. As a result, it is noted that the incidence of diseases was in the order of urticaria (5.6%), lumbar sprain (4.1%), acute gastroenteritis (3.1%) and anxiety (3.1%). In categorical review, the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was the most common (25.1%) which was followed by skin disease (17.9%) and digestive disease (11.3%). In addition, the disease that was noted as was the most common in the under 30 years old category, and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high in the crew group. Finall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athogenesis (trauma vs disease, etc.) (p <.001) and the type of vessel (merchant ship and fishing vessel) (p <.005) as noted in this case.

1. 서 론

우리나라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2014년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330만 톤 이상의 수산물을 생산하고 있는 세계 14위의 국가다(Rural Women’s Newspaper, 2017).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위해서 다양한 측면의 정책들이 고안되 고 있는 가운데, 어획량의 상당부분을 책임지고 있는 원양선 박의 선원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원양선박의 선원은 선박이란 한정된 공간 내 제한적 신체활동, 장시간의 반복적 노동, 식재료의 한계로 인한 불균형한 영양섭취, 제한 적인 의료기관 접근성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들 에 노출되어 있다. 한국해기사협회(2011)는 선원의 직업에 대 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건강간리의 어려움이 68.8 점, 사고부상의 위험이 75.3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가 나왔 고, 승선 전보다 승선 후 건강이 나빠졌다고 응답한 대상자 가 전체의 60%였다(Korea Marine Officers’ Association, 2011; Kim and Jeon, 2015). 그리고 Jeon et al.(2015)은 선원 을 대상으로 한 건강실태 조사에서 선상에서 아팠던 경험이 있는 사람이 약 34%였으나 선상에서 치료를 받아보지 못했 다고 답변한 사람이 81.3%로 나타났다(Jeon et al., 2015). 따 라서 선원의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원격의료 서비스가 한국사회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도 선원들의 건강관리 필요 성을 공감하고 있어, 국제해사기구(IMO)와 국제노동기구 (ILO)에서는 대상 국가에게 선원의 건강 및 질병과 관련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를 통하여 관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IMO, 2001; ILO, 2001). 본 연구는 2016년 9월 20일부터 2017년 12월 8일까지 한 기관에서 해양원격의료를 통해서 수 집된 자료에 대한 임상분석을 시행하고 현재까지 수행했던 해양원격의료의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양원 격의료 서비스의 개선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원격의료 의의 및 해양원격의료의 필요성

원격의료(telemedicine)는 1960년대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의료 분야(Parendnia et al., 1995))로 장비로는 데이터 및 화 상(畵像)을 전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 서버, 정보통신망 등의 장비를 갖춰야 한다. 즉, 원격의료는 통신기기를 사용하 여 원격지의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료시스템이며, 정 보통신기술(ICT)과 의료서비스가 융합된 분야라고 할 수 있 다(Kim et al., 1999). 한국의 의료서비스는 공공재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가 서비스를 받기 원하면 배제할 수 없 다. 그러나 공간적 시간적 제약으로 차별적인 의료서비스를 받는다면 정부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 다.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선박, 전기가 잘 들어오지 않는 시골 등은 일반 도시에서 제공되는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없 기 때문에, 정부에서 더 많은 지원과 투자를 통해 서비스의 수준을 맞춰야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원양선박의 선원들도 정부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공평하게 받아야 한다. 따라서 바 다라는 시·공간의 제약으로 인한 불공평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격의료 서비스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3. 연구의 분석 및 결과

본 연구는 2016년 9월 20일부터 2017년 12월 8일까지 약 1 년 2개월 (약14개월) 동안 해양원격의료를 통해서 수집된 자 료 195건의 원격의료정보 자료를 활용하였다. 해당 자료는 고혈압이나 당뇨 등과 같이 기존에 관리하던 상병을 제외하 고 선상에서 새롭게 발생된 질환만을 포함하였고 동일한 상 병에 대해 한 환자에게서 여러 번의 진료가 이루어진 경우에 도 한 번의 진료를 받은 것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같은 기간 에 원격의료 세트를 탑재하고 사전에 업무에 따라 선박에서 온 의뢰 건만을 포함하였고 원격의료 세트가 없거나 사전에 교육을 받지 않은 선박에서 의뢰된 건수는 제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선박의 종류(상선, 어선), 조사대상자인 원양선박 선원들의 연령, 성별, 병인, 질병분류에 따라 질병의 분포를 알아보았고, 이를 위해서 SPSS 23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 도분석, 및 Ⅹ²검정(교차분석)을 활용하였다.

3.1. 선박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건강관련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먼저, 연령은 30세미만 (48.2%), 30세-40세 미만(22.1%)으로 나타나 40세미만이 70%를 넘는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직위는 부원(34.9%), 항 해사(28.2%) 및 기관사(28.2%), 선장(5.6%)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건강관련 특성으로 과거병력 없음(52.3%), 가족력 없 음(56.4%), 수술이력 없음(77.4%)으로 나타나, 있다고 응답한 이들보다 많았다. 하지만 먹는 약 있음(55.4%), 흡연 함 (51.8%), 음주 함(68.7%)등으로 확인되어 금연, 금주를 하는 이들보다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병인의 구분에서는 질병 (81.0%), 외상(18.5%) 순으로 나타나 질병이 월등히 많았다. 끝으로 선박의 종류에서도 상선(91.8%)으로 어선(7.7%)보다 훨씬 많았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의 Table 1과 같다.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ocean going vessel and survey subjects

3.2. 질환발생 기술통계(실태 및 현황)

해양원격의료를 통해 질환 발생에 대한 진단명의 기술통 계 결과를 살펴보면, 두드러기가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5.6%), 요부염좌(4.1%), 급성위장관염(3.1%), 불안(3.1%)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의 Table 2와 같다.

Classification of major diseases(M.D=38)

3.3. 질병분류 기술통계

해양원격의료를 통해 얻게 된 진단명을 질병별로 분류한 결과 근골격계(25.1%) > 피부계(17.9%) > 소화계(11.3%)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Table 3과 같다.

Classification of diseases by diagnosis(C.D.D=15)

3.4. 연령 및 직급에 따른 질병분류와 교차분석

연령에 따른 질병분류를 분석한 결과 30세 미만이 15개 질병 중 9개의 질병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소 화계(59.1%), 근골격계(46.9%), 피부계(48.6%), 시각 및 외안부 (52.9%), 중추신경계(35.3%), 순환기계(83.3%), 호흡기계(54.5%), 치과(62.5%), 코 및 후두부(80.0%)로 나타났다. 그리고 30-40세 미만에서는 내분비계(57.1%), 대장항문(66.7%)에서 다른 연령대 보다 질병이 많이 발생했으며, 비뇨기계(33.3%)는 30-40세 미만 과 50-60세 미만에서 가장 많은 빈도가 나타났다.

그리고 본 직급에 따른 질병분류를 분석한 결과 항해사는 순 환기계(66.7%), 치과(50.0%), 코 및 후두부(100%)에서 다른 직 급들보다 가장 많은 빈도가 나타났고, 기관사는 소화기계 (36.36%), 근골격계(34.7%), 시각 및 외안부(41.2%), 대장항문 (66.7%)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부원은 근골격 계(34.7%), 내분비계(71.4%), 피부계(40%), 중추신경계(41.2%), 비뇨기계(44.4%), 호흡기계(45.5%)에서 가장 많은 빈도가 나타 났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Table 4와 Table5에 나타 나 있다.

Diseas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ge

Classification of diseases according to rank

3.5. 선박의 종류에 따른 연령별 분석

선박의 종류에 따라 연령분류를 한 결과 상선이 모든 연령 대에서 어선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30세미만 (93.6%), 30세 이상 40세미만(92.9%), 40세 이상 50세미만 (92.3%), 50세 이상 60세 미만(88.0%), 60세 이상(85.7%)로 나 타났다. 다만 30세 미만에서는 상선(88명)과 어선(6명) 모두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Table 6에 나타나 있다.

Ag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vessel type

3.6. 선박의 종류에 따른 병인 교차분석(Ⅹ² 검정)

선박의 종류에 따른 병인을 분석한 결과 상선이 외상 (80.0%)과 질병(94.9%)에서 어선보다 빈도가 높았다. 그리고 Ⅹ² =9.045이고, 유의수준은 .001에서 선박의 종류에 따른 병 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Table 7에 나타나 있다.

Crossover analysis according to vessel type(Ⅹ2)

3.7. 병인에 따른 질병분류 교차분석(Ⅹ² 검정)

병인에 따른 질병분류를 분석한 결과 질병이 소화기계 (95.4%), 근골격계(51%), 내분비계(100.0%), 피부계(94.3%), 시각 및 외안부(64.7%), 중추 신경계(94.1%), 비뇨기계(100%), 순환기계(100%), 청각 및 외이(100%), 호흡기계(90.9%), 치과 (87.5%), 코 및 후두부(80%), 대장항문(100%), 신장(100%), 생 식계(100%)로 모든 부분에서 외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Ⅹ² =68.056이고, 유의수준은 .000에서 외상과 질병과 기타 간 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Table 8과 같다.

Diseas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athologenesis(Ⅹ2)

3.8. 해양원격의 진료 사례

-사례 1-

“5일전부터 귀의 가려움을 주 증상으로 불편함을 겪던 29세 A씨는 시간이 가도 증상이 가라앉지 않아 원격의료를 요청하 게 되었다. 원격의료를 통해 외이도 주변을 살펴보았으나 특이 사항이 없어 외이도내부를 관찰하기로 하고 의료관리자를 통 해서 외이도 촬영을 의뢰 하였고 확대경 장비를 이용한 외이 도 진찰을 통해 외이도 내부에 조그만 솜 타래가 고막에 붙어 있음이 확인되어 일종의 이물질이 증상을 일으킴을 알 수 있 었다(Fig.1). 선상이 소음이 크다 보니 수면을 위해 귀에 넣어 뒀던 솜이 외이도에 남아서 증상을 일으킨 것이었다. 솜 타래 가 고막에 가까이에 있어 선상에서 제거가 불가능함을 고지하 고 응급 상황은 아니므로 경과 관찰 후에 예정된 항해를 마치 고 하선 시에 반드시 제거할 것을 권유 하였다.”

Fig. 1.

Photograph of the eardrum (ear canal) taken directly in marine telemedicine

-사례2-

“24세의 남자 선원이 정기모니터링을 위한 심전도 검사에서 브 루가다패턴이라는 판독결과가 나와서 해양원격의료 전담 의료진에 게 심전도 재검사를 요청하였고, 다시 찍은 심전도 또한 동일 소견 으로 발견되었다. 선원에게 심장관련 증상이 있는지 물어본 결과 심장관련 증상은 없지만 잠을 못자고 자주 깨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하였고, 수면장애에 대해서 체험하거나 증상이 있느냐고 물 어 봤지만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것 같다고 하였다. 그러나 조금 뒤 선원은 이어진 상담에서 자다가 놀래서 잠을 깼는데 분명히 심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느꼈고, 왼쪽 가슴이 조금 조이는 것 같다는 증상을 호소하였다. 이에 대해 의료진은 상태를 관찰하고 항해를 계속하되 하선 시 병원 방문 및 정밀검사를 권유하였다. ”

4. 고 찰

본 연구는 원양선박에서 발생하는 선원들의 질환을 원격 의료시스템을 통해 실태를 파악하여 의료진의 진료로 내린 진단명 및 질병분류를 통해 원양선박 선원들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Jeon et al.(2007)도 한국의 2006년 해사노동협약에서도 선원의 치료에 국한하지 말고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보건교육프로그램 등의 예방적 조치를 강화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고 했다(Jeon et al., 2015).

분석결과에 대한 종합적 논의를 살펴보면, 첫째, 조사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30세미만(48.2%), 30세-40세 미만(22.1%)으로 나타나 40세미만이 70%를 넘는 비율로 나 타났다. 이것은 Kim et al.(2006)의 상선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질병실태 조사한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가진다. 그들은 상선 승무원 1049명을 대상으로 조사자의 연령을 분석한 결과 40 세 이상이 64.7%로 나타나 40세 미만의 35.3%(보다 훨씬 많 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한편, Kim and Chang(2006)은 624명 의 어선선원들을 대상으로 질병실태를 연구한 결과 40세-49 세가 42.3%로 가장 많이 분포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 원양선박 선원들의 연령대가 상당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15년 정도가 지난 이 시점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우리나라 선원들의 연령분포가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고 원격의료의 신청에 대한 인식이나 참여도가 중년층과 청년층 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질병군을 따라서 분석한 결과는 근골격계가 가장 많 고 이어서 피부계, 소화기계 순으로 나타났다. 근골격계가 선 상 질환 중 흔하게 보이는 것은 이전 다른 연구자의 결과와 일치 하는 부분이다. Kim et al.(2006)의 연구에서도 근골격 계>구강계>피부계>소화기계로 나타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 고 Kim and Chang(2006)에서도 근골격계와 소화기계가 가 장 많이 발생하는 질병 1,2순위로 보고하였다. 또한,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05)는 2002년에서 2004년까지 국 적 원양상선 5개의 선원들을 대상으로 상병의 실태를 분석하 였는데 근골격계의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에서 염좌 는 타박상 다음으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근골격계 질환은 단순 약물에 대한 반응이 낮고 만성화의 경향이 크기 때문에 해양원격의료의 개선을 위해서는 요통이 나 어깨, 무릎 관절을 보호하고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운 동 프로그램의 도입이나 재활 전문의사가 참여하는 원격의 료, 선상 재활 기기 등의 탑재를 통해 관리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질환명 단위로는 두드러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요부염좌, 급성위장관염, 불안 순으로 나타났으 며, 근골격계질환이 제일 많이 나타난 것은 특이한 내용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바다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작업을 하 는 선원들이 특히 건강에 신경을 써야 하나 일정하지 않은 근무 혹은 조업시간으로 인해 규칙적인 식사를 하기 어렵고 좁은 선상환경에서 규칙적인 운동량이 부족해지거나 장기간 항해로 인한 식재료 관리 등의 문제로 인해 급성위장관염과 같은 소화기계에 속하는 질환이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선박 내에 햇빛이 적을 뿐만 아니라 염분이 많고 습도가 높 은 생활환경이나 침구나 의류의 위생관리 부실 등으로 인해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계의 질환도 많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배의 진동이나 기울어짐이 반복되면서 선원들은 배에 부딪히거나 넘어짐 등으로 인해 근육통이나 타박상 등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선상의 좁은 작업 공간에서 작업 을 하다 보니 좋지 못한 자세에서 장시간 동일 작업이 반복 될 수 있고 특히 허리 굽힘 자세가 많아 요부 염좌로 진단되 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요부 염좌를 포함 하여 질병분류에서는 근골격계의 질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근무 환경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상선이 어선보다 근골격계 질환이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 타났지만 상선이 어선보다 배수량이 더 크고 근무가 규칙적 인 점을 고려해 보면 그 원인은 현재로서는 뚜렷하지 않다.

본 연구는 해양원격의료 선박의 대상 숫자가 14개월 동안 15척∼39척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였고 선원들도 순환배치 가 비정기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본 연구대상을 전체 선원 들이라고 정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각 질병에 따 른 유병률의 계산이나 전체 모집단의 질병특성이나 건강관리 특징을 체계적이고 연속적으로 분석할 수 없었던 것이 한계 점이라고 하겠다.

5. 결 론

본 연구는 원양선박 선원들 195명을 대상으로 질병발생에 대해 해양원격의료를 통해 의료진의 진료로 내린 진단명과 질병분류를 중심으로 약 1년 2개월간의 주요 질환의 실태를 파악하였고, 이를 근거로 작성된 질병(빈도와 종류)등을 분석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환발생 빈도는 두드러기(5.6%), 요부염좌(4.1%), 급성위장관염(3.1%) 및 불안(3.1%)등이 가장 흔하게 발생되 는 상병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질환 종류에는 근골격계(25.1%), 피부계(17.9%), 소 화기계(11.3%)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선이 어선보다 근골 격계의 질환이 유의하게 많았다.

셋째, 원격의료의 발생은 30세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사관 보다는 부원의 질병발생이 많았다.

이는 우리나라 선원들의 연령분포가 중년층에서 청년층으 로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격의료를 신청한 선원들이 젊은 층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다 양한 원격의료시설 구비의 확충과 장비의 현대화가 요구된다 고 본다.

후 기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 구되었음.

References

1. ILO. The impact on Seafarers’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Shipping Industry. 2001. Geneva:
2. IMO. Guidance on Fatigue Mitigation and Management. London: 2001.
3. Jeon Y.W., Hong S.H., Kang S.H., Choi B.K., Han S.H., Kim J.H., Sung E.H..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marine remote medical support system. Korea Maritime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nsortium; 2015.
4. Jeon , et al. Maritime Labour Convention 2007.
5. Kim I.G., Keum W.H., Moon S.K., Park C.H.. An Intelligent and Distributed Telemedicine Server for a Continuum of Telemedicine C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ons 1999;5(1):141–142.
6. Kim J.H., Chang S.R.. A Questionnaire Survey on Occupational Disease of Fishe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06;21(5):84–91.
7. Kim J.H., Chang S.R., Moon S.B., Ha H.D., Yang W.J., Lee S.W.. Investigation into Occupational Disease of Merchant Crew.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2006;30(6):551–559.
8. Kim J.H., Jeon Y.W.. A Research on the Perception Level of Seafarer Related Organizations in sefarer ?(tm)s Actual Health Care Conditio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2015;39(3):193–198.
9. Korea Marine Officers’ Association. 2011. Monthly Maritime Korea.
10. Marine Telemedicine Examination Project Internal Data. 2017. Marine Telemedicine Examination Project Plan.
11. Ministry of Legislation. www.moleg.go.kr.
12.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roposal Report Analysis of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for Seafarers’ Onboard Work 2005.
13. Parendnia DA, Allen A. 1995;Telemedicine techn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 JAMA 273:483–488.
14. Pusan National University Convergence Medical Institute of Technology. Global Maritime Telemedicine Law Forum 2015. p. 109–110.
15. Rural Women’s Newspaper. 2017. The production of aquatic products in Korea is 3.3 million tons
16. Whosaeng Newspaper. 2015. The world’s first ocean fishing telemedicine service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ocean going vessel and survey subjects

character division N (%)

gender 1. man 184 94.4
2. woman 11 5.6

Total 195 100


age 1. under 30 94 48.2
2. 30order-40under 43 22.1
3. 40order-50under 26 13.3
4. 50order-60under 25 12.8
5. 60 order 7 3.6

Total 195 100


rank 1. captain 11 5.6
2. warden 6 3.1
3. mate 55 28.2
4. engineer 55 28.2
5. a member 68 34.9

Total 195 100


pathologenesis 1. trauma 36 18.5
2. disease 158 81.0
3. etc 1 0.5

Total 195 100


disease no/yes 1. no disease in the past 102 52.3
2. in past disease 93 47.7

Total 195 100


history no/yes 1. no family history 110 56.4
2. has family history 85 43.6

Total 195 100


surgery no/yes 1. no history of surgery 151 77.4
2. history of surgery 44 22.6

Total 195 100


medicine to eat no/yes 1. no medicine to eat 87 44.6
2. medicine to eat 108 55.4

Total 195 100


smoking 1. no smoking 94 48.2
2. smoking 101 51.8

Total 195 100


drinking no/yes 1. no drinking 61 31.3
2. drinking 134 68.7

Total 195 100


type of vessel 1. merchant ship 179 91.8
2. fishing vessel 15 7.7
3. research vessel 1 0.5

Total 195 100

Table 2

Classification of major diseases(M.D=38)

major diseases N(%) ranking major diseasesN N(%) ranking
keratitis 2(1.0%) 6 dry eye symdrome 2(1.0%) 6
cold 4(2.1%) 4 intraocular foreign body 2(1.0%) 6
kidney stone 3(1.5%) 5 hyperemia 2(1.0%) 6
cervica lsprain 2(1.0%) 6 shoulder sprain 4(2.1%) 4
irritable bowel syndrome 2(1.0%) 6 dizziness 2(1.0%) 6
arthritis 2(1.0%) 6 extraocular infection 3(1.5%) 5
acute gastritis 3(1.5%) 5 otitis 2(1.0%) 6
acute gastroenteritis 6(3.1%) 3 lumbar sprain 8(4.1%) 2
pleuritis 2(1.0%) 6 hernia of lumbar disc 3(1.5%) 5
diabetes mellitus 4(2.1%) 4 hypotension 2(1.0%) 6
urticaria 11(5.6%) 1 joint of foot sprain 3(1.5%) 5
headache 3(1.5%) 5 hernia of vertebra disc 2(1.0%) 6
hordeolum 2(1.0%) 6 tooth fracture 3(1.5%) 5
knee sprain 2(1.0%) 6 gingivitis/per iodontitis 3(1.5%) 5
bug bite wound 2(1.0%) 6 limb edema 2(1.0%) 6
insomnia 2(1.0%) 6 skin rash 4(2.1%) 4
anxiety 6(3.1%) 3 furuncle 2(1.0%) 6
dyspepsia 3(1.5%) 5 herpes 4(2.1%) 4
finger laceration 2(1.0%) 6 etc 76 (58.1%) except
wrist sprain 3(1.5%) 5
total 66 total 129
Total: 195(100%)

Table 3

Classification of diseases by diagnosis(C.D.D=15)

classification of diseases by diagnosis N % rank
digestive system 22 11.3 3
musculo-skeletal system 49 25.1 1
endocrine system 7 3.6 8
skin system 35 17.9 2
eye and optical system 17 8.7 4
central Nervous system 17 8.7 4
urological system 9 4.6 6
cardiovascular system 6 3.1 9
ear and auditory system 3 1.5 11
respiratory system 11 5.6 5
dental system 8 4.1 7
nose and throat 5 2.6 10
colo-rectal system 3 1.5 12
kidney system 2 1.0 13
reproductive system 1 0..5 14
Total 195 100.0

Table 4

Diseas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ge

disease classification digestive system musculo -skeletal system endocrine system skin system eye and optical system central Nervous system urological system cardi ovascular system ear and auditory system respir atory system dental system nose and throat colo-rectal system kidney system reproductive system total
age classification
under 30 N 13 23 1 17 9 6 1 5 1 6 5 4 1 1 1 94
% 59.1% 46.9% 48.6% 52.9% 35.3% 83.3% 54.5% 62.5% 80.0% 48.2%
30-40 N 2 12 4 6 6 3 3 0 0 2 1 1 2 1 0 43
% 57.1% 33.3% 66.7% 22.1%
40-50 N 3 5 1 7 2 3 2 0 1 2 0 0 0 0 0 26
% 13.3%
50-60 N 2 8 0 4 0 4 3 1 0 1 2 0 0 0 0 25
% 33.3% 12.8%
60 order N 2 1 1 1 0 1 0 0 1 0 0 0 0 0 0 7
% 3.6%
total N 22 49 7 35 17 17 9 6 3 11 8 5 3 2 1 195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Table 5

Classification of diseases according to rank

disease classification digestive system musculo -skeletal system endocrine system skin system eye and optical system central Nervous system urological system cardi ovascular system ear and auditory system respir atory system dental system nose and throat colo-rectal system kidney system reproductive system total
rank classification
captain N 0 3 1 4 0 1 1 0 0 0 1 0 0 0 0 11
% 5.6%
warden N 1 1 0 1 0 2 1 0 0 0 0 0 0 0 0 6
% 3.1%
mate N 7 11 1 7 5 4 0 4 1 4 4 5 0 1 1 55
% 66.7% 50% 100% 28.2%
engineer N 8 17 0 9 7 3 3 1 1 2 1 0 2 1 0 55
% 36.36% 34.7% 41.2% 66.7% 28.2%
member N 6 17 5 14 5 7 4 1 1 5 2 0 1 0 0 68
% 34.7% 71.4% 40% 41.2% 44.4% 45.5% 34.9%
total N 22 49 7 35 17 17 9 6 3 11 8 5 3 2 1 195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Table 6

Ag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vessel type

age under 30 30- 40 40- 50 50- 60 60 order total
vessel type
m. s. N 88 39 24 22 6 179
% 93.6% 92.9% 92.3% 88.0% 85.7% 100%
f. v. N 6 3 2 3 1 15
% 6.4% 100%
total N 94 42 26 25 7 194
% 100% 100% 100% 100% 100% 100%

Table 7

Crossover analysis according to vessel type(Ⅹ2)

pathologene sis trauma disease etc total 2 p-value
vessel type
m. s. N (%) 28 (80%) 150 (94.9%) 1 179 (92.3%) 9.045 (p=.001)
f. v. N (%) 7 8 0 15 (7.7%)
total N (%) 35 158 1 194 (100%)

Table 8

Diseas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athologenesis(Ⅹ2)

disease classification digestive system musculo -skeletal system endocrine system skin system eye and optical system central Nervous system urological system cardi ovascular system ear and auditory system respir atory system dental system nose and throat colo-rectal system kidney system reproductive system total 2 p-value
pathologenesis
t rauma N 1 24 0 2 6 1 0 0 0 0 1 1 0 0 0 36 68.056 (p=.000)
% 18.5%
disease N 21 25 7 33 11 16 9 6 3 10 7 4 3 2 1 158
% 95.4% 51% 100% 94.3% 64.7% 94.1% 100% 100% 100% 90.9% 87.5% 80% 100% 100% 100% 81%
etc N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1
% 0.5%
total(N) 22 49 7 35 17 17 9 6 3 11 8 5 3 2 1 195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Fig. 1.

Photograph of the eardrum (ear canal) taken directly in marine telemedicine